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ICT 리터러시 영향 요인을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개인 요인의 영향이 학교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수준 간 상호작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을 통해 개인 수준과 및 학교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2022년도 조사의 학교별 응답 학생 수가 20명 이상인 53개 고등학교의 고등학생 1,715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성별, 성적, 가정 내 ICT 환경이며 부모의 학력과 소득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수업 활동으로 나타났고 학교 요인 중 지역 규모, 학교 규모, 교수연수 시간, 교사의 정보화 관련 기자재 만족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및 학교 수준 간 상호작용 검증 결과 가정 내 ICT 환경이 조성되지 않은 가정의 고등학생에게서 학교 교육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ICT 리터러시를 이해하고 고등학생을 위한 교육 및 정책적 개입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학교에서의 ICT 리터러시 교육 및 인프라 지원 정책의 필요성 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at both the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and to explore how the impact of individual factors interacts with school factors. Multilevel models were estimated using an analytical sample of 1,715 high school students from 53 high schools each with 20 or more respondents, based on the 2022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This study highlights three key aspects. First, the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ICT environment at home, while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Second, the school factor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teachers’ activit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Among the school factors, the size of the region, the size of the school, the hours of teacher training, and teachers’ satisfaction with ICT equipment were not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showed that the effect of school education was greater for high school students from households with a poor ICT environment at ho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nderstands high school students’ ICT literacy, demonstrates the need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ducational policy interven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need for ICT literacy education and policy in school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