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오늘날 시대는 라곰(Lagom), 오캄(Au Calme), 휘게(Hygge) 등으로도 불리는 소확행(小確幸)에서부터 기술과 약물 등을 통한 쾌락에 이르기까지 행복을 욕망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행복하기를 꿈꾸지만, 누구나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늘날에는 쾌락이나 행복에 이르는 길도 매우 다양하다. 종교교육학자인 안톤 부허(Anton Bucher)는 근대에 들어서면서 행복과 운명의 여신들은 과거의 지위를 잃어버렸고, 그로 인해 행복과 행복에 대한 책임은 우리 “인간 자신의 손에 놓이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오늘날 행복은 직접적으로 느끼고, 오로지 개인의 판단 속에서만 가능한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이 되었다. 또한 기술시대를 사는 많은 이들이 모든 문제, 사회적인 문제들뿐 아니라, 심지어 행복과 같은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문제까지도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솔루셔니즘(solutionism)’이라 부르는데, 솔루셔니즘은 인간 심리에 대한 조금의 인식이 없어도 컴퓨터 조작과 같은 기술적 작업을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개인의 문제는 말할 것도 없고, 사회적 문제 역시 기술적 수단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실제로는 더 많다. 또한 근시안적 혹은 일시적 해결에 매몰될 때 기술을 통한 해결은 전혀 예기치 못한 결과들을 낳기도 한다. 기술을 통해 어떠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그것이 지닌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나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거나 여러 상황과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때는 기술만으로 그 원인을 해결하거나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때뿐만이 아니라, 만족감, 충만함, 행복감과 같은 감정이나 정서를 북돋으려 할 때도 마찬가지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먼저 기술 시대 행복의 기준과 조건으로 제시되고 있는 ‘즉시성과 감각 증강,’ ‘효율성과 최적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개인윤리, 직업윤리, 그리고 사회윤리와 정치윤리의 측면에서 오늘날의 기술에 대한 윤리적 우려 세 가지와 기술과 행복의 관계를 톺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행복의 반대라 일컬어지는 ‘슬픔’과 같은 부정적 느낌이 기술 시대에 필요한 이유와 신앙인으로 우리가 가져야 할 ‘영적 경험으로서의 행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신앙인으로서 우리가 기술 시대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는 것이 필요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Today’s era can be characterized as the age of the desire for happiness, from the small things, also known as Lagom, Au Calme, and Hygge, to the pleasure of technology and drugs. Everyone wants to be happy, but not everyone can achieve it, and today there are many different paths to pleasure or happiness.
Anton Bucher, a scholar of religious education, says that in modern times, the goddesses of happiness and fate have lost their status, and the responsibility for happiness and well-being has been placed in our “own hands”. Happiness has become an intensely personal and subjective thing that can only be directly felt and judg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many people in the technological age are convinced that technology can solve all problems, including social problems, and even emotional and personal problems like happiness. This tendency is called “solutionism,” which is the belief that all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technical operations, such as computer manipulation, without the slightest awareness of human psycholog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social problems, not to mention individual problems, cannot be solved by technical means alone. In addition, technology can have unforeseen consequences if it is used for short-sighted or temporary solutions.
Solving a problem with technology is an attempt to solve it by focusing on the surface phenomena or problem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exists. Therefore, if the causes of a problem are not obvious or are a combination of different situations and contexts, it is unlikely that technology alone can solve or eliminate them. This is true not only when trying to solve a problem, but also when trying to promote feelings or emotions such as contentment, fulfillment, or happiness.
In keeping with this critical stance toward technology, this paper will first examine the “immediacy,” “sensory augmentation,” and “efficiency and optimization” that have been proposed as criteria and conditions for happiness in the technological age, and then raise three ethical concerns about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happiness in terms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social and political ethics. Finally, we will examine why sadness, the opposite of happiness, is necessary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the role of happiness as a spiritual experience for people of faith, demonstrating the need for us as people of faith to take a clear stand on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technology.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