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민족개조담론 분석을 통하여, ‘조선인’이 개조의 대상이자 주체로서 재현되는 방식과 그 내적 논리를 규명하는 것이다. 『개벽』과 『학지광』 등 당대 민간 매체에서 전개된 개조론은 인종학과 사회심리학, 독일 신이상주의 철학, 낭만주의에 연원을 둔 민족성 담론에 이르는 여러 이질적인 사상과 인간학적 탐구를종합하고, 이로부터 조선 민족에 고유한 개조의 길을 상상하고 제안했다. 이때 식민지개조론자들의 과제는 ‘비서구’ ‘식민지’라는 객관적 현실을 방기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들이 그러한 객관적 조건을 극복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것이었다. 이를위해 개조론자들은 조선인의 ‘근본 성격’을 구체화하는 한편으로 일련의 통계자료에기입된 ‘숫자’를 통해 조선인의 현재 상황을 분석했다.

『개벽』에서 진행된 조선문화 기본조사 사업은 이러한 의미에서의 ‘조선인’을 탐구하고 그 산물을 사회적으로 공유하고자 한 시도로 읽어낼 수 있다. 기획자에 의하면새로운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창조되는 이 시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대해 아는 것’으로, 기본조사 사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수행되었다. 여기서 각 지역에 대한 소개는 대체로 해당 지역의 경계를 그리고, 가호 수와 농업·어업·임업·광업생산량을 통계로 제시하고, 그 지역의 민담과 민요를 소개하는 형태를 취했다. 거칠게나마 요약하자면 ‘조선인’은 숫자와 민담, 민요를 통해 표상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Korean reading class using the reciprocal reading approach :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수미 p. 13-42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native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 서효원 p. 43-81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by Vietnamese learners 이선미, 조남현 p. 83-111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Explo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rcultural education : applying Q-methodology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황윤아, 장현정 p. 113-148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Design and case study of a multimodal literacy : based storytelling clas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박근영 p. 149-180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basic literacy education using a balanced approach in the introductory stage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learners 손희연 p. 181-209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Analysis of the problems of writing conclusions in college writing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김수경 p. 213-236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Reconsideration of rewriting and the educational plan for re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김현정 p. 237-268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Study on efficient linkage between 'pre-class' and 'in-class' in flipped learning-based writing lectures : based on the results of learner needs analysis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도희 p. 269-297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college writing teaching methods using ChatGPT : focusing on topic selection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이미정 p. 299-321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Learners ' experiences of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and persuasive writing through written interviews 박은하, 박영식 p. 323-345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The process of finding a father and becoming a subject : an analysis of Kim Won-il's "The Soul of Darkness" and Lim Cheol-woo's "The Land of the Father"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김민주 p. 347-370
숫자와 노래 = Numbers and songs : colonization discourse and the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the 1920s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박재익 p. 371-395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teaching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the sijo genre as song : a study focused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지안 p. 397-425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Reinterpreting Heosaengjeon through the publicness of Silhak 백지민 p. 427-448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extensibility of perception concept on K-culture : focusing on 'Sumtrend' big data (2014-2023)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문한별, 이정용 p. 449-476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Slang words discourse analysis in communication language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KakaoTalk language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간호배 p. 477-494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Examining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reshold concepts in thesis genre education 민정호 p. 495-516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A study on the content of reading education to identify and reconstruct perspectives 김영아, 길호현 p. 517-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