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바탕으로, 지난 70여 년간 중국 유아교육정책에서 요구된 부모 역할의 변화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all의 정책적 패러다임 전환 이론에 근거하여 중국 1949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된 유아교육정책들을 4단계로 나누어, 각 시기별 부모역할 양상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역할은 “유예된 상태(1949-1977)”, “초보 교육자(1978-1992)”, “교육참여자(1992-2009)”, “교육동반자(2010-현재)” 등 4개의 단계로 변화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동반자의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유아교육 정책에서 학부모의 주체적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육 정책에서 교육동반자로서의 학부모의 책임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교사와 부모의 공동교육에 대해 관리, 소통, 감독, 평가 등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에서의 부모역할 및 부모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 Analyzing pre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a Q-methodological approach : Q방법론적 접근 최지은 p. 5-3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 중심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실천 =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배진희, 권귀염 p. 33-61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유아 또래놀이행동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eer play behaviors in childcare setting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보육현장을 중심으로 임정하, 박성민 p. 63-83

아버지의 부모신념과 온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아버지-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lliance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warm parenting behaviors 이승연, 안예슬 p. 85-106

유아교육정책 전환에 따른 중국 부모역할의 변천 및 정책적 시사점 = Changes in the role of Chinese parents due to the transi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policy implications 김경철, 유예정 p. 107-128

유아의 미디어조절력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미디어 중독의 매개효과 = Media addiction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trol and problematic behavior in infants 신효진, 조준오 p. 129-149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역량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주영신, 권경숙 p. 151-174

유아 자기조절력 연구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Analysis of keyword network on research trends on self-regulation in young children 김보라, 문명화 p. 175-195

유치원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탐색 = Explori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mothers with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regard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정유리, 권정윤 p. 197-229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강교육 및 관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health education and care in the post COVID-19 era 서승은, 송영림, 박수경 p. 231-254

유아 놀이성과 리더십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김석언, 서현 p. 255-286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의 교직과목 및 교직이론 교과목 운영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pedagogical study courses and pedagogical theory cours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김언경, 박건령, 오채선 p. 287-309

부모-영아 자녀 상호작용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기질적 조화적합성의 조절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mperamental fit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 a comparative study of mothers and fathers : 어머니 및 아버지 비교연구 서소정, 손수영, 송지연 p. 311-334

유아의 위험과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 Fat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sk and risk-taking play 곽정인 p. 335-359

만 4, 5세 유아반에서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술놀이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play using digital application in 4 to 5 year-old infant classes 이효주, 정슬기, 문수영 p. 361-387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수진, 서현 p. 389-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