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PISA 2022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성취에 영향을 주는 학생의 동기와 교실 및 학교 환경 요인을 포괄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PISA 2022의 학생 및 학교장이 참여한 설문 응답 자료를 다층분석의 하나인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배경 요인인 부모의 SES가 높을수록, 동기 요인인 수학효능감, 수학 노력과 끈기, 호기심이 높을수록 수학 성취의 평균이 높아졌다. 반면에 수학 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수학 성취의 평균이 낮아졌다. 둘째, 학교 요인인 학교 소재지가 대도시에 위치할수록 학생들의 수학 성취의 평균이 높았고, 환경 요인인 학교 안전감, 수학 수업 분위기 수준, 수학 추론 활동 수준이 높아지면 수학 성취의 평균이 높아졌다. 반면 부정적 학교 풍토가 높아지면 수학 성취의 평균이 낮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로 파악한 학생들의 수학 성취에 영향을 주는 학생 및 학교 요인이 수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사회적 위축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social withdrawal in middle school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perceived by children : 자녀가 지각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홍주명, 정주리 p. 169-194

청소년의 미디어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SNS의 혜택 차이에 관한 연구 = Differences on benefits from the use of SN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media education among adolescent 송연주, 이은주, 김민정 p. 195-218

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national research trends in teacher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studies from 2000 to 2023 : 2000~2023년 연구를 대상으로 이지은, 박지원, 김유경, 문주영 p. 219-259

수학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동기와 학교 환경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 Motivationl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a multilevel analysis using large-scale data 정재훈, 임효진, 조은혜 p. 261-292

일반고등학교 학업성취 유형 및 영향 요인 탐색 = Exploring academic achievement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high schools : focusing on mathematics and school factors : 수학 교과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장선희, 장수연 p. 293-317

IBEC 인증 기준을 통한 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구 = Exploring ways to improve curriculum at teachers college level through IBEC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BEC case : 경북대 IBEC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 강현석 p. 319-342

사이버불링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적 분석 = Structural analysis of cyberbullying influencing fact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dependence : 스마트폰의존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 불안,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원영, 김경식 p. 34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