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취업 여부를 예측하는 최적의 모델을 도출하고,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장애인의 취업 여부 예측에 기여하는 변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7차년도 자료에서 3,328명을 분석대상으로 장애인의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64개의 설명변수를 선정하였다. 기계학습은 Orange 3.36.2를 사용하여 9가지 알고리즘(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AdaBoost, SVM, 인공신경망, Naive Bayes, kNN)을 적용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결정하고, 예측에 기여하는 설명변수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취업 여부에 대한 최적의 예측 모델은 Gradient Boosting 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설명변수는 근로 가능정도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능력 요인과 가구 요인, 취업활동 요인, 취업제도 및 환경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또는 시사점: 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취업지원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책을 새롭게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와 고용」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Disability and Employment journal using text mining-based topic modeling : 2009∼2023 : 2009∼2023 신현욱 p. 5-22

기계학습을 활용한 장애인 취업 예측모형 탐색 및 분석 = Exploration and analysis of employment prediction mode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machine learning 정대영, 염동문 p. 23-42

작업장 기반의 직무디자인(Work design) 적용 중재가 직업복귀(Return to work)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orkplace-based work design application interventions on return to work :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무작위 대조 연구 유명훈, 유두한, 김수경, 이재신, 전유미, 이상숙, 서재근 p. 43-67

표본 선택 모형을 활용한 장애인의 직업훈련 경험이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zing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n employment and wage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sample selection models 최계원, 이영민 p. 69-87

발달장애인은 자신의 평생설계와 부모의 사후 삶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는가? = How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gage in permanency planning and cope after the death of their parents? 김대규, 김소현, 김현진 p. 89-125

특수학급 초등학생을 위한 KDB 모형 기반 그림책 활용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d utilizing a curriculum-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based on KDB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pecial classes 신선경, 박윤정 p. 127-159

선천장애인과 산재장해인의 경제활동 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conomic activity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congenital disorder and industrial accident disabilities : an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data : 장애인고용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한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민, 권태구 p. 161-189

발달장애 보호자의 돌봄 부담이 보호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aregiving burden on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 당사자의 취업으로 인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종빈, 이수용 p. 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