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국내 시각장애 성인의 점자 사용 능력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 대상은 국내 시각장애 성인중 점자를 사용하는 20세부터 69세에 해당하는 시각장애인 268명이었다. 검사자 15명이 2023년 9월 7일부터 11월 14일까지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점자 받아쓰기, 점자 읽기 유창성, 점자 읽기 이해의 3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점자 받아쓰기 검사는 낱말과 문장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점자 읽기 유창성 검사는 2종류의 글을 읽고 1분간 읽은 음절수를 산출하였고, 점자 읽기 이해 검사는 5개의 지문, 2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소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점자 사용 능력의 총합 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26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점자사용능력의 총합 등급을 4-3-2-1수준으로 등급화하여 분포를 제시하였다. 수준 등급 분포 비율은 4수준(우수) 14.9%, 3수준(보통) 45.5%, 2수준(기초) 29.9%, 1수준(기초 미달) 9.7%로 나타났다. 결론: 2수준 이하가 전체 39.6%를 차지하여 점자를 사용하는 시각장애 성인 중 점자 사용 능력을 일상생활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각장애 성인의 점자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기술 활용 =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 a literature review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박진석, 이영선 p. 1-19

국내 시각장애 성인의 점자 사용 능력 = Braille usage ability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Korea 정미란, 최경순, 박중휘, 송효섭 p. 21-46

성인기 시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인식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daily sports among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o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sense of happiness 김호연, 김두영, 임경선 p. 47-69

국내・외 시각장애 관련 음악 분야 연구 동향분석(2014∼2023) =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music related to visual impairment(2014~2023) 김덕주, 홍재영 p. 71-94

디지털 촉각그래픽 솔루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 Empirical user experience evaluation in digital tactile graphic solution : using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UEQ) and interview : 사용자 경험 설문(UEQ) 및 면담을 중심으로 박진석, 김동복, 김예형 p. 95-117

시각장애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학력보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for academic completion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adult learners 김미선, 박중휘 p. 119-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