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 암은 현대 사회의 주요 건강 위협 중 하나로, 음주는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알코올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가벼운 음주조차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다. 본 연구는 국외의 저위험 음주 기준과 암 예방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한국의 현행 가이드라인과 비교함으로써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여러 국가의 저위험 음주 기준과 암 예방 가이드라인을 포괄적으로 리뷰하였다. 초기 대상으로 2018년 WHO에서 발표한 표준 음료 정의를 제공하는 51개국을 선정하였고, 구글 검색 및 국가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번역 과정에서 오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 번역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37개 국가의 저위험 음주 기준에서는 일 단위 기준을 제시하는 국가가 많았지만, 점점 주 단위 기준을 권고하는 국가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39개 국가의 암 예방 가이드라인을 분석한 결과, ‘절주’를 권고하는 국가들이 가장 많았으며, 알코올 소비 자체를 ‘제한하라’는 능동적이고 강력한 어조로 권고하는 반면, 다른 일부 국가는 절주 또는 술을 줄이라는 수동적이면서도 유연한 권고를 하고 있다. 일부 국가는 알코올 섭취 자체를 위험한 행동으로 간주하여 ‘금주’를 권고하며, 최근 3년 동안 저위험 음주 기준을 주 단위로 권고하는 국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결론 : 최근 연구들은 알코올 섭취와 건강 사이에 ‘안전한’ 양이 없음을 입증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국가의 가이드라인에도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 2013년의 저위험 음주 가이드라인과 2018년의 암 예방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어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각 국가의 가이드라인은 그 나라의 문화와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암’이라는 심각한 건강 위협에 대해 보다 강력한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민의 특성을 반영한 음주와 암 발생 위험 분석을 통해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개발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he) effect of a daughter’s age at menarch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ge at menarche and adult daughter’s obesity = 딸의 초경연령이 어머니의 초경연령과 성인기 딸의 비만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Seungjae Hyun, Sangshin Park p. 1-12

COVID-19가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youth obesity during COVID-19 :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2021-2022) :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1년-2022년) 윤숙현, 홍성애, 김동숙 p. 13-25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홍성애, 이수재, 김혜진, 윤숙현 p. 27-36

SNOMED CT use case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SNOMED CT use case : constructing a reference set for chief complaints and primary diagnoses through SNOMED CT mapping : targeting patients in pulmonology : SNOMED CT 매핑을 통한 주호소·주진단 Reference set 구축 : 호흡기내과 환자를 대상으로 백승희, 최선혜, 서새들, 김두연, 홍경란, 곽낙원 p. 37-51

한국 간호조무사의 직장 내 성희롱 및 괴롭힘 경험 실태조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bullying in the workplace among nursing assistants in Korea 김진석, 이무식 p. 53-67

암 예방을 위한 음주 가이드라인 = Alcohol use guidelines for cancer prevention : an international review and comparison : 국제적인 검토와 비교 이혜림, 박현진, 전승희, 장혜승, 이순영, 지선하, 박혜숙 p. 69-88

주류 통신판매 허용에 반대하는 과학적 근거 = The scientific basis for opposing the legalization of online alcohol sales 황지은, 박수잔, 강희원, 조성일, 강나은, 양정민, 허건, 김광기, 제갈정, 박지은 [외] p. 8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