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사투리는 특정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담고 있어 그 지역의 이미지를 인식시키거나 태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거나 연구한 사례는 드물다. 이 연구는 최근 2년 이내에 전라도 지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다른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문화상품 매력성이 지역이미지, 태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24년 3월 16일부터 3월 2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00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한 연구 결과, 사투리 문화상품의 매력성은 지역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및 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투리 문화상품의 고유성은 지역이미지를 통해 태도 및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투리가 지역의 중요한 관광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지방자치단체가 관광 마케팅 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투리 문화상품의 매력이 지역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the attractiveness of dialect cultural products on visitors' regional image and intention to revisit 박병규, 김미연, 오치옥 p. 1-21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정책 특성과 발전방안 = Research on regional cultural content industry policy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s : focusing on Daegu City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재광, 오동욱 p. 23-49
중국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ultural products in Chinese museums : focusing on the period from 2014 to 2024 : 2014∼2024년을 중심으로 서우진, 김인설 p. 51-76
문화도시를 위한 도시브랜드 자산과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개인 혁신성의 역할 = A role of individual innovation in forming city brand asset and identity for cultural cities : focusing on the cultural city factors of Suwon Special City : 수원특례시의 문화도시 요인을 중심으로 곽하율, 박현승 p. 77-105
일본 세계농업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성화 방안 사례 분석 연구 = A case study on the sustainable revitalization of world agricultural heritage in Japan 김현지 p. 107-135
문화자치 추진과정의 성과와 과제 = Outcomes and challenges of the cultural autonomy : focused on the case of the Gyeoggi-do cultural autonomy vitalization project : 경기도 문화자치활성화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하 p. 137-157
개체화 이론을 통한 놋다리밟기의 전승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succession process of Notdari-Vapgi through individuation theory 김용남 p. 159-177
은유추출기법(ZMET)을 활용한 태국인의 한류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allyu perception among thais using metaphor extraction method(ZMET) 윤영삼, 고선하 p. 179-203
광역문화재단의 문화다양성 정책사업에 대한 가치비평적 분석 = A value-critical analysis of the cultural diversity policy projects by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이소민, 안혜진 p. 205-231
백제문화 관광거점도시 육성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lan for Baekje cultural tourism hub city : focusing on Gongju : 공주를 중심으로 박철희 p. 233-259
지방자치단체 지역학의 방향 정립을 위한 시론 = A trial discussion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studies i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history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tudies : 지역학의 역사와 학문적 성격을 중심으로 권응상 p. 261-284
경상북도 야간관광 발전 방향 탐색 = Exploring design directions for the night tourism in Gyeongsangbuk-do 김영희, 김진희 p. 285-301
K-pop의 음악적 특성과 청취자 태도 분석 = Analysis of musical characteristics in K-pop and the attitude of the listener 신은지, 손수연 p. 303-327
Landau의 가외성에 따른 지방문화원과 지역문화재단의 협력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operation plan between local cultural center and local cultural foundation based on Landau's redundancy theory 한상진, 김선영 p. 329-352
중국 숏 웹드라마의 현황과 인기 요인 분석 =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popularity factors in Chinese short web dramas 하기문, 한령 p. 35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