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글은 일본이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조선침략을 합리화한 征韓論과 1910년 한일합병 이후 식민통치를 단행하면서, 한민족에 대한 民族同化政策의 논리를 정당화하고 합리화하기 위해 역사를 어떻게 왜곡하고 이데올로기화 해가는 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부터 시작된 정한론은 조선멸시론과 조선속국론에 뿌리를 두고 있고, 그 역사적 기원도 『일본서기』의 삼한정벌에서 시작했다. 신공황후의 삼한정벌을 기정 사실화하고, 고구려・신라・백제가 모두 일본의 藩臣이었으며, 일본은 中華이며, 文武가 중국과 조선에 비할 바가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1910년 조선을 병탄한 이후는 ‘동양평화’와 ‘민중구제론’으로 한일병합을 합리화시켰다. 그리고 『일본서기』 속의 신화를 다시 끄집어 내어 ‘日鮮同祖論의 同化이데올로기’를 만들었다. 나아가 일본의 대륙침략을 본격화하면서는 ‘內鮮一體’와 ‘一視同仁’의 정책을 조선사회의 구석까지 미치도록 ‘皇國史觀’을 철저하게 교육시켰고, 1940년부터는 ‘創氏改名’을 실시했다.

창씨개명이란 한국인이 완전히 일본인이 되어 한국인이라는 민족이 지구상에서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민족의 말살정책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결국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일본 극우파의 역사수정주의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또 하나의 역사왜곡 행위일 뿐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본의 역사인식과 역사수정주의 = Japanese historical awareness and historical revisionism 이종국 p. 3-39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침탈과 식민정책 이데올로기의 역사왜곡 =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of Korea and historical distortion of colonial policy ideology 손승철 p. 41-74

강제노동·강제동원의 역사부정론을 검토하다 = Review the denials of the history of forced labor and forced mobilization 오일환 p. 75-148

조선인‘위안부’문제와 역사수정주의 = Korea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revisionism in the 1990s : 1990년대를 중심으로 윤명숙 p. 149-185

스가모 프리즌에 수감된 BC급 전범의 전쟁책임인식 = Recognition of war responsibility of BC-class war criminals imprisoned in Sugamo Prison 유지아 p. 187-224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 The Siege of Ulsan as chronicled in Japanese military records and post-battle movements 김경태 p. 225-265

통신사 파견과 왜관의 역할 = The dispatch of Tongsinsa and the role of Waekwan : based on Kwansu-Maeikgi in 1719 : 기해사행 시기 관수매일기를 바탕으로 이재훈 p. 267-296

‘東藩’에서 ‘誠信’으로 = From Tōhan to Seisin : the change in diplomatic rhetoric of the Tsushima clan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 17세기 후반 對馬藩의 외교적 수사 전환 이해진 p. 297-335

러일 세력균형기(1896~1904) 한국 언론계의 일본 인식 = Korean press’s understanding of Japan during the Russo-Japanese balance period : 『독립신문』, 『제국신문』,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정종원 p. 337-373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 = Russia’s diplomatic strategy and Korean issues before and after the signing of the Portsmouth Treaty : 러시아 국방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이항준 p. 375-409

해양과 지정학 = Oceans and geopolitics : the approaches of Halford Mackinder and Alfred Mahan : 핼퍼드 매킨더(Halford Mackinder)와 알프레드 머핸(Alfred Mahan) 조준배 p. 411-439

진도 관마리 1호분의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 hypothesis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Gwanma-ri No. 1 in Jindo island : comparison of islands and coastal areas on the southwestern coast in the Korean Peninsula : 한반도 서남해안권 도서・해안지역 고분과의 비교 권치웅, 김상민 p. 441-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