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 늘봄학교사업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추후 늘봄학교에서의 심리·사회·정서지원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김창대 외(2022)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A대학 늘봄학교사업단의 3종 교육모듈, 표현치료연속체(ETC)이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총 3회기의 프로그램 4종을 개발하였으며,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4단계에 맞춰 구조화하였다. 프로그램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2월 27일까지 경기·인천 12개교에서 운영되었으며,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기반으로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운영하는 데 있어 갖추어야 하는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 강사의 전문성, 학교 현장과의 소통 및 협력,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22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art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강승구 p. 1-17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 =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 a study centered on Levinson's eclectic realism :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공완욱 p. 19-41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적 가치와 실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value and practice of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김효정 p. 43-63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탐색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김효희 p. 65-89

‘인류애: 그래픽디자이너와 함께 그리다’ 그래픽디자인 전시의 팬데믹 동안 성찰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reflection during the pandemic of the 'Love for Humanity : Let's Draw with Graphic Designers' graphic design exhibition 류선화, 김선아 p. 91-113

미술에서의 상상력에 대한 고찰 = Reflections on imagination in art : focusing on the cognition of imagination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rt curriculum in the 2022 revision and previous years :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미술과 교육과정 관련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박소영 p. 115-146

포용성 경험을 위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digital media for inclusion experience 서선영, 손지현 p. 147-168

가상현실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Therapeutic factors in virtual reality art therapy : a qualitative meta-analysis 안서현, 한경아 p. 169-197

미술관 전시 공간과 감상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visitors : focusing on Philippe Parreno's <Voice> exhibition : 필립 파레노의 <보이스> 전을 중심으로 이경은, 박지은, 김선아 p. 199-225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at Neulbom School 이유경, 한경아, 박나현, 이홍조, 이현주, 정주연 p. 227-252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미술 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 방안 = Sharing and communication method of expression results in art education for building school communities and new cultures 장유정, 현은령 p. 253-278

들뢰즈의 의미론이 주는 미술비평 교육에의 시사점 = Implications of Deleuze's semantics for art criticism education 조인성 p. 279-296

시각 문화의 비판적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실행 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enhancing critical analysis ability in visual culture :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2022 art curriculum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각적 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하영유 p. 297-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