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최근 COVID-19로 인해 새로운 교육의 한 형태로 자리 잡은 원격교육 중 상호 간의 원활한 소통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디자인 실기교육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은 원격교육을 활용한 디자인 실기교육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실제 원격으로 운영된 디자인 실기교육의 현황을 통해 그에 대한 문제점을 시스템 환경 및 육체적 피로, 상호 간의 소통에 대한 어려움으로 제시했다. 이에 전문가 FGI를 활용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영상 모듈과 음성 모듈로 분류된 가상공간 시스템을 각각 설계하여 원활한 디자인 실기교육이 운영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공간을 시각화하여 구현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메타버스 플랫폼은 향후 디자인 실기교육뿐 아니라 원격으로 운영되는 다양한 교육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효과적인 디자인 실기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제안 = Proposal for an effective design practice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through metaverse platforms 김지혜 p. 1-8

화장품 콜라보레이션 패키지 유형별 연구 = A study on cosmetics collaboration package types : focusing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ands : 한·중·일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사기, 박종빈 p. 9-22
이미지 생성형 AI의 정서 표현 한계 및 비교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limitations of emotional expression in image generative AI and comparative analysis : focused on video work AI ≠ A:I : 창작물 AI ≠ A:I를 중심으로 윤원재 p. 23-34
트라우마 후 성장을 기저로 한 퓨리오사 캐릭터의 성격 변화 연구 = A study on personality changes in Furiosa character based on post-traumatic growth 민신기 p. 35-44
뮤지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시공간 방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xhibition space for the sustainability of museums 이정민, 박명선 p. 45-56
1인 가구의 양질의 식생활을 위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UI design of healthcare application for quality diet of single-person households 마흠, 박종빈 p. 57-66
엑스포 마스코트와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통합적 브랜드 개발을 위한 관계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 mascot and identity design for integrated brand development 한희석 p. 67-77
친환경 패키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brand identity design of eco-friendly packaging : focusing on dairy product brands in China and Korea : 중국과 한국 유제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우커만, 이원범 p. 78-88
몰입이론 8채널 모형 노인활동공간 체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activity experienc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eight-channel model of flow theory : focusing on urban community space in China : 중국 도시 커뮤니티 아웃도어 공간 중심으로 장역동, 민경훈 p. 89-97
OTT 플랫폼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아니메의 OVA적 특성연구 = A study on the OVA-like characteristics of anime in OTT platform original animations : focused on Netflix original animation :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최민규 p. 98-106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분석을 통한 게임 제작에서의 활용 가능성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mage generation AI models in game production 진기영, 한태우 p. 107-118
태양광 충전 전동킥보드를 위한 디자인 모듈 방법론 고찰 및 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module methodology consideration and system application for solar charging electric kickboard 이재용 p. 119-129

중국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담론 분석 = Discourse analysis of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urban park through China big data analysis 장강, 이상영 p. 130-140
촉각성과 현대미술 = Haptics and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the deconstruction of ocularcentrism : 시각중심주의의 해체를 중심으로 임윤수 p. 141-149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상호작용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 of smart packaging 송채원 p. 150-158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아버지의 깃발’과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두 편 영화에서의 승전과 패전에 관한 상징적 연출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c directing of victory and defeat in Clint Eastwood's films "Flags of Our Fathers" and "Letters from Iwo Jima" 나준기 p. 159-165
바이오사이버네틱 복제와 메타이미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cybernetic reproduction and meta-image 김민지 p. 166-174

AI 도구를 활용한 그림책 창작수업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plans for creating picture books using AI tools 오보영 p. 175-184
브레인챗 = BrainChat : proposal for conceptual design of AI-based generative brainstorming method and service for human-centered design : 인간중심디자인을 위한 AI 기반 생성형 브레인스토밍 방법 및 서비스의 개념설계 제안 황수인, 김성준 p. 185-193

국내 홍삼스틱 패키지 디자인 표현요소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s of red ginseng stick package in Korea 박채원, 신재욱 p. 194-202
MICE 산업 변화에 기반한 전시컨벤션 브랜딩 디자인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exhibition and convention branding design based on changes in the MICE industry 민재윤 p. 203-213
(A) case study on public design projects for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공공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연구 : 배리어 프리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 focused on barrier-free kiosks Yi, Sung Han p. 214-223
UX/UI 디자인 개발의 GUI 디자인 효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GUI design in UX/UI design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necessity of GUI design education : GUI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김지영 p. 224-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