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À travers En rade de Huysmans, notre étude mettra en lumière la souffrance inhérente à la quête de soi (ou, en se référant à la psychanalyse, à la « quête du Soi »), en l'associant à la question du lieu. Elle s'interrogera sur le succès ou l'échec de cette recherche d'une véritable identité. Nous nous pencherons d'abord sur la mélancolie de Jacques, qui évoque celle de des Esseintes. Nous mettrons en avant la manière dont le paysage reflète l'état d'âme du personnage. Les lieux façonnés par l'homme (château, jardin, église) ainsi que le paysage naturel jouent un rôle clé en tant que miroir de la détresse de Jacques Marles. Concernant cet état d'âme mélancolique, notre analyse portera également sur ce que l'on pourrait appeler une "météorologie mentale". En examinant trois éléments — le ciel, le soleil et la pluie —, nous montrerons comment ces aspects du réel, perçus différemment selon l'humeur de l'observateur, occupent une place essentielle dans En rade.

조리스 카를 위스망스가 1887년 출간한 소설 『정박지에서』는 현실에 환상을 그리고 환상에 현실을 투영한 자아 탐구(혹은 정신분석학적 용어로는 ‘자기(Self)’ 탐구)를 다루고 있다. “자아 찾기” 여정에 고통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는 주인공의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요소(인위적 풍경, 자연 경관, 날씨)와 내적 번민과의 결합에 대하여 조명하고자 한다. 위스망스의 『정박지에서』의 주인공 자크의 우울감은 1884년 발표한 작가의 대표작 『거꾸로』의 주인공 데상트의 멜랑콜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인위적으로 조성된 장소 (성, 정원, 교회, 도서관) 와 자연경관은 현실에 존재하나 동시에 비현실 적인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주인공이 자신의 존재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고통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환상보다 더 환상 같은 현실은 공간 및 경관의 분위기 뿐만 아니라 날씨에서도 드러나며 이는 주인공이 자아를 찾는 과정에서 느끼는 환멸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는 이러한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정신 기상학” 이라 명명할 수 있는 세 가지 요소(하늘, 태양, 비)가 주인공의 정서와 상호작용하며 정체성 탐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프랑스 요리와 맛에 관한 탐색적 연구 = Étude sur la cuisine et le goût français 심현 p. 1-24
술라이만의 항해를 통해 보는 바다와 인간 = Mers et Hommes vus à travers le voyage de Sulaymân : à propos de la baleine et l'ambre gris : 고래와 용연향을 중심으로 정남모 p. 25-47
에티오피아 문명과 자아의 탐색 = La recherche de la civilisation éthiopienne et de soi : dans Éthiopie : le livre et l'ombrelle de Gérard Macé : 제라르 마세의 『에티오피아 : 책과 양산』을 중심으로 김현아 p. 49-74
프랑스 이주민 문화와 연극 = Culture et Théâtre des immigrés en France : Focus sur la troupe Nedjma : 네즈마 (Nedjma) 극단을 중심으로 임재일, 이현주 p. 75-103
「통합 개선과 이민 통제를 위한 2024년 1월 26일 법」에 관한 연구 = Étude sur la 「loi du 26 janvier 2024 pour contrôler l'immigration, améliorer l'intégration」 이정욱 p. 105-127
퐁주와 액체 = Ponge et liquide : Évolution de la perception du liquide et sa signification : 액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이춘우 p. 129-164
여성과 역사 = Femme et Histoire : dans L’Amour, la fantasia et La Chambre solitaire : 『사랑, 판타지아 (L’Amour, la fantasia)』, 『외딴방』 비교연구 이송이 p. 165-193
En Rade de Huysmans = 환상보다 더 환상적인 현실에서의 자아 탐구와 그 여정에 수반되는 고통에 대하여 : 위스망스의 『정박지에서』를 중심으로 : La souffrance de la quête d’identité dans un paysage fantastiquement réel Hong Ji Eun p. 195-230
프랑스어 접속법문의 형태 연구 = Une étude sur la forme des phrases au subjonctif en français 고길수 p. 23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