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남해안 해역(경남통영 및 전남여수)에서 그물통발의 망목과 입구크기에 따른 어획성능과 종조성을 분석 및 검토를 위한 해상실험에서 어획된 어류는 1강, 8목, 17과, 23종, 662개체, 99,833 g이었으며, 개체수로 가장 많이 어획된 어종은 붕장어(Conger myriaster)로 301 개체, 45.5%이었으며, 참문어(Octopus vulgaris)로 152 개체 23.0%, 민꽃게(Charybdis japonica) 45 개체로 6.8%,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43 개체로 6.5%, 쌍동가리(Parapercis sexfasciata) 42개체로 6.3%이었다. 전체 어획량에서 개체수로 붕장어, 참문어, 민꽃게, 쏨뱅이, 쌍동가리가 88.1%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기타 어종으로 18종 68개체가 어획되어 전체의 12.5%를 차지하였다. 전체 어획 조사 결과 붕장어의 어획 비율은 B. 22 /280 ㎜에서 50.9%로 가장 높았으며 마리당 평균 전장도 입구둘레 길이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험어구 6종의 각각의 통발에 어획된 합계 중량 기준으로 붕장어, 참문어 및 기타 어종의 어종별 중량 비율을 살펴보면 A. 통발은 66.6%, 26.5%, 6.9%, B. 통발은 57.2%, 24.5%, 18.3%, C. 통발은 43.2%, 31.5%, 25.3%, D. 통발은 7.4%, 56.7%, 35.9%, E. 통발은 43.6%, 0%, 56.4%, F. 통발은 5.0%, 79.6%, 15.4%로 나타났다.

To analyse and review the fishing performance and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rance and mesh of the pot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Tongyeong, Gyeongsangnam-do and Yeosu, Jeollanam-do),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caught one class, eight orders, 17 families, 23 species, 662 fishes, and 99,833 g. The largest number of fish species was Conger myriaster (301 fishes caught) accounting for 45.5%, followed by Octopus vulgaris (152) accounting for 23.0%, Charybdis japonica (45) accounting for 6.8%, Sebastiscus marmoratus (43) accounting for 6.5%, and Parapercis sexfasciata (42) accounting for 6.3%. Conger myriaster, Octopus vulgaris, Charybdis japonica, Sebastiscus marmoratus, and Parapercis sexfasciata accounted for 88.1% of the total catch. For other fish species, 68 fishes of 18 species were caught, accounting for 12.5% of the total. As a result of the total catch survey, the catch rate of Conger myriaster was the highest at 50.9% in B. 22 mm/280 mm. In addition, the average total length per fish increased as the entrance size increased. The weight ratios of Conger myriaster, Octopus vulgaris, and other fish species based on the total weight caught in each pots of the six species of test fishing gear are as follows. A pots 66.6%, 26.5%, 6.9%, B pots 57.2%, 24.5 %, 18.3%, C pots 43.2%, 31.5%, 25.3%, D pots 7.4%, 56.7%, 35.9%, E pots 43.6%, 0%, 56.4%, and F pots 5.0%, 79.6%, 15.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선단축소형 권현망 어구를 적용한 조업시스템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shing system using miniaturized nets for anchovy boat seine to reduce the fleet size 안영수, 김보연, 조윤형, 안종갑 p. 207-216
남해안 연안 해역 그물통발의 망목과 입구크기에 따른 종조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rance and mesh of the pot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안영수, 유권, 조윤형, 구명성, 안종갑 p. 217-227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의 식성 = Feeding habits of the ridged-eye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in South Sea, Korea 김민서, 정재묵, 이정훈, 백근욱 p. 228-234
장기간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자원의 생태학적특성 변동 분석 =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 variations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Korea using long-term time series data 김무진, 강희중, 윤상철 p. 235-243
IUU어업을 고려한 생태계기반 자원평가 = A revised ecosystem-based fishery risk assessment incorporating IUU fishing 권유정, 이성일, 장창익 p. 244-257
패시브 음향조사와 목시조사를 통한 한국 남해안에 서식하는 상괭이 종(Neophocaena asiaeorientalis)의 출몰 및 음향 특성 = Occurrence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off the south coast of Korea using hydrophone and visual surveys 김현영, 정지훈, 강동하, Fredrich Simanungkalit, 강명희 p. 258-268
생분해 자망 폐어구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및 재생칩 제조 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a pre-treatment and recycled chip manufacturing device for recycling biodegradable gillnet waste fishing gear 배재현, 원성재, 박수봉 p. 269-276
해양생물의 원전 취수구 유입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inflow of marine life into the nuclear power plant 강태종, 민은비, 신중로, 황두진 p. 277-289
어선원 기초안전교육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safety education system for fishing seafarers 정금철, 안영수, 주윤국 p. 290-299
다랑어 원양어선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분석 =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industrial incidents occurring on overseas tuna fishing vessels 이승현, 박인창, 김남구, 김수형, 류경진, 이유원 p. 3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