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0년에 로랑 비네는 HHhH를 출판하여 첫 소설 부문 공쿠르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는 포켓북 독자상을 받았다. 게슈타포 수장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 대한 체코 저항군 두 명이 수행한 앤트로포이드 작전을 다룬 이 소설은 미국에서도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다양한 비판도 받았다. 일부는 이를 문학적 "사기"라고 했으며, 크리스틴 베르베리치는 소설의 실제 의도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HHhH는 단순한 역사 소설이 되기를 거부하는 점에서 독특하다. 비네는 서술자-작가로서 소설적 허구에 대한 불신을 표현하며, 자신의 작품을 "인프라 소설"이라고 부른다. 그는 이 개념을 허구를 제외한 소설의 기법을 사용하는 이야기로 정의한다. 이 텍스트는 역사적 이야기와 작가의 글쓰기 성찰을 교차시키며 메타픽션 역사소설을 창조한다. 비네는 허구에 대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때때로 허구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결국 HHhH는 역사에 접근하는 소설의 능력을 탐구하면서 허구와 진실 서사의 한계를 질문한다.

Laurent Binet publie HHhH en 2010, obtenant le prix Goncourt du premier roman, suivi du prix des lecteurs du Livre de Poche en 2011. Le roman, qui raconte l'opération « Anthropoïde» menée par deux résistants tchèques contre le chef de la Gestapo Reinhard Heydrich en 1942, a connu un succès commercial notable, y compris aux États-Unis, mais a aussi suscité des critiques variées. Certains ont parlé de « supercherie », et Christine Berberich a noté que les intentions réelles du roman n'avaient pas toujours été comprises.

HHhH se distingue par son refus d'être un simple roman historique. Binet, en tant que narrateur-auteur, exprime sa méfiance envers la fiction romanesque, qualifiant son œuvre d’« infra roman », un concept qu'il définit comme un récit utilisant les techniques du roman, à l’exception de la fiction. Le texte alterne entre le récit historique et les réflexions de l'auteur sur l'écriture, créant ainsi une métafiction historiographique. Malgré sa résistance à l'invention, Binet admet parfois la nécessité de la fiction pour rendre le récit captivant. En fin de compte, HHhH explore les capacités du roman à traiter l'Histoire tout en questionnant les limites de la fiction et de la vérité narrati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 «infra roman» comme subterfuge narratif, étude sur la mise en scène de la haine de la littérature dans HHhH de Laurent Binet = 서사적 속임수로서의 ‘인프라 소설’ : 로랑 비네의 HHhH에서 나타난 문학에 대한 혐오 연출에 대한 연구 Simon Kim p. 5-23

쥘 쉬페르비엘의 『망각하는 기억』 연구 = Étude sur l’Oublieuse mémoire de Jules Supervielle : fables créées par l’oubli : ‘망각’이 꾸며낸 경이로운 이야기들 김시원 p. 25-67

신 없는 세계, 진실 없는 사실 = Un monde sans Dieu, une réalité sans vérité : une lecture des fabliaux : 파블리오 읽기 문성욱 p. 69-106

바타유의 위반의 시학과 프레베르의 초현실주의 = La poétique de la transgression chez Bataille et le surréalisme de Prévert 오생근 p. 107-138

익숙하고도 낯선 기억의 공간과 형상 = L’espace et la figuration de la mémoire à la fois familiers et inconnus : Image du vert chez Modiano : 모디아노 작품에 나타나는 초록색 이미지 이광진 p. 139-160

Étude sur la sensibilité chez Diderot = 디드로의 감수성 개념 연구 Lee Choong Hoon p. 161-179

공감의 기원, 기원의 공감 = L’origine de la sympathie, la sympathie de l’origine : la théorie de la sympathie de Sophie de Grouchy : 소피 드 그루시의 공감 이론 최요환 p. 181-213

라신느 시학의 근대성 = La poétique moderne de Jean Racine : le cas de Phèdre : 『페드르(Phèdre)』를 중심으로 홍인혜 p. 215-244

한불사전에 제시된 등가어 오류와 수정을 위한 제안 = Analyse des erreurs d’équivalence dans le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 identification et propositions de correction 최지인 p. 273-300

플로베르 작품에서 살펴본 SENTIMENT과 ÉMOTION의 어휘적 지위 = Le statut lexical de SENTIMENT et ÉMOTION dans les œuvres de G. Flaubert 김미현 p. 245-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