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교장⋅교감의 인식을 조사하여 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A⋅B교육지원청에 속한 초⋅중⋅고등학교 교장⋅교감 118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 여부와 접촉 경험의 질, 그리고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은 정신적 장애인보다 신체적 장애인을 더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 차원으로 신체적 장애인과 정신적 장애인에 대해 모두 가족차원에서의 관계를 허용하는 정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국가나 일반 생활 차원에서 장애인과의 관계를 허용하는 것보다 매우 개인적이고 지속적인 관계인 장애인과 가족이 되는 것에는 큰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로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 중 긍정적 경험이 많을수록 신체적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느끼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순회귀분석으로 나타난 정신적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경험 빈도와 장애인과의 긍정적 접촉 경험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법정 의무교육인 인식개선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장·교감의 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contact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on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이지선, 김재연, 김지혜 p. 1-28

아동학대 사례관리대상자의 특성 및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ttributes and intervention measures of child abuse case management subjects 이은영 p. 29-45

예비 초등교사의 인권교육 강좌 수강 경험이 인권판단에 주는 영향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judgment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aking human rights education courses at universities 구정화 p. 47-68

대학 인권센터 인권교육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 focusing on measures to improve human rights educ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Higher Education Act : 고등교육법 개정 이후 인권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황윤미, 한상미 p. 69-94

교권 보호 조례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향 = Analysis of content of ordinance for protection of teacher's right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박상준 p. 95-124

아동권리 침해대응 및 권리보장을 위한 국제 비교연구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child rights responses and rights protection : focus on Sweden, Japan, the United States : 스웨덴,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김웅수, 홍문기 p. 125-151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사유개념 그리고 인권교육 = Hannah Arendt's concepts of banality of evil & thinking and human rights education 장원순 p. 153-177

학생의 사회권 확대를 위한 학교의 역할과 로컬거버넌스 확립 방안 = The role of schools in expanding students' social rights and how to establish local governance : focusing on student-customized integrated support policies :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이윤진, 김광병 p. 179-197

교원양성대학에서의 인권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An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박새롬, 송현정 p. 199-225

고등학교 통합학급 수업에서 학습권 갈등 양상과 해결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conflict of rights for learning and the direction of resolution in the high school inclusive classroom 주주자 p. 227-257

페미니즘 현상을 둘러싼 10대 남자 청소년의 인식과 경험 = Male adolescent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feminism phenomenon : focused on educational implications : 교육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재우, 이수정 p. 259-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