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삼계에 속한 모든 것이 ‘오직 인식일 뿐’(vijñaptimātra, 唯識)이라는 이론을 체계화하고 재정립한 인물인 바수반두가 생각했던 공간과 생태 및 동물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그 함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수반두가 저술한 『유식이십론』의 4송~7송에서의 지옥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지옥에 관한 바수반두의 논의는 단지 불교의 전통적 세계관을 옹호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가 사는 세계 전체의 생성 방식, 중생들이 태어나는 이유 등에 대하여 설명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유식이십론』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그와 같은 바수반두의 목적에 함의된 내용들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그가 기존의 아비달마 논사들이 제시했던 발상을 어떤 방식으로 전환하여 유식의 이론에 적용하는지에 주목하여, 사상가로서의 바수반두가 논리 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의 한 단면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바수반두는 실재하는 공간으로서의 지옥의 존재를 거부하기 위한 방식으로 지옥의 파수꾼 등이 지옥 중생이 아니라는 것을 핵심 논리로 사용하였다. 그런 파수꾼의 비중생설은 『대비바사론』에 나타난 어느 설일체유부 논사의 주장으로부터 확장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지옥에 관한 논의는 지옥이 마치 꿈과 같은 심리적 현상임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바수반두의 논의는 환경과 중생이 무엇인지, 우리가 왜 이런 환경에 살고 있으며, 어떤 요인에 의해서 지금의 삶을 살게 되는 것인지에 대하여 유식의 입장에서 제시하는 하나의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환경 문제나 동물권 보호 같은 문제와 관련하여 간접적으로 불교의 주요한 한 시선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적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