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공감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skills, empathy, and job stress on young childhood teachers'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practices
|
지미선, 김진경
|
p. 1-20
|
|
|
|
ChatGPT의 대학 교육 활용 경험에 대한 사범대학 교수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experience of using ChatGPT's university education
|
조영재
|
p. 21-43
|
|
|
|
AI 도구 활용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AI tools
|
송혜란, 정제영
|
p. 45-61
|
|
|
|
70년대생과 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chool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parents born in the 1970s and 1980s
|
한은정, 정혜주
|
p. 63-82
|
|
|
|
공유대학의 교육과정, 행정지원서비스, 교육지원시스템이 참여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 shared university's curriculum, administrative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 on the self-efficacy of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 focus on the K-shared university : K공유대학을 중심으로
|
김갑순, 최지연, 이희제
|
p. 83-98
|
|
|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과제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ask value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
김현진
|
p. 99-112
|
|
|
|
우리나라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악곡들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평가 = Assessment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musical pieces included in South Korean music textbooks : perspectives on human and economic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 외국과의 인적 및 경제적 교류의 관점
|
박경석, 전경화
|
p. 113-134
|
|
|
|
물질의 입자성 도입 전과 후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과학 설명 텍스트 특성 =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planatory text of the changes in gas volume according to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types of transitivity : 동성 체계의 과정 유형 분석을 통하여
|
백명주
|
p. 135-156
|
|
|
|
대학생의 불안 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김윤영, 최윤정, 현혜순
|
p. 157-167
|
|
|
|
북한이탈주민 대상 한국어 발음 양상 및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pronunciation pattern and percep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
류승의, 박아희, 조윤경
|
p. 169-180
|
|
|
|
난독증 초등학생 한글 해득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yslexia to learn Korean language
|
김미정, 남창우, 이민효, 이수아
|
p. 181-199
|
|
|
|
예비과학기술인력에게 요구되는 연구 활동 단계별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Analysis of perceptions on key competencies in research activities required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als : a case study of students at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희목, 류춘렬, 박경진, 이동원
|
p. 201-216
|
|
|
|
영어 주제 탐구 학습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표절 양상 및 인식에 관한 실행 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plagiarism patterns and perceptions in English theme-based learning
|
김미영
|
p. 217-242
|
|
|
|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 분석 =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of self-concep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양희용
|
p. 243-260
|
|
|
|
만 5세 유아의 문제해결중심 협동동작활동과 교사주도 협동동작활동의 효과비교 = Effect of problem solving-based collaborative movement activities on self-esteem, peer interaction, creative leadership of 5-year-old children : comparative study problem solving-based and teacher-based assessment :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창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
윤소정, 정가윤
|
p. 261-275
|
|
|
|
실감형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 인식 탐구 = An inquiry of faculty'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use of immersive contents : focusing on K university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
채소린, 남영옥, 박주연
|
p. 277-290
|
|
|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협동심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희현, 정혜원
|
p. 291-308
|
|
|
|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근무환경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on job crafting
|
유진영, 김정은
|
p. 309-324
|
|
|
|
놀이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어린이집 원장의 놀이중심 활동에 대한 성장 과정 = Growth process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play-oriented activ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lay-learning community
|
홍정선, 안연경
|
p. 325-337
|
|
|
|
유아교사의 감성지능, 놀이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
정수진
|
p. 339-356
|
|
|
|
Q-Craft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생성문항 타당성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validity of automatically generated questions using the Q-Craft
|
이문정, 이용상
|
p. 357-373
|
|
|
|
대학의 좋은 수업에 대한 강의평가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mporal changes in course evaluation of good university instruction
|
윤가영, 박인우
|
p. 375-390
|
|
|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외로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loneliness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silencing :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이은지, 김태선
|
p. 391-406
|
|
|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maturity
|
이순희
|
p. 407-421
|
|
|
|
음악 수업에서 매체 활용에 관한 중학교 음악 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media in music classes
|
정은정
|
p. 423-436
|
|
|
|
영아반 교사의 음률활동 실제와 어려움 =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of actual musical activities of infant teachers
|
조연경, 권경숙, 김윤선
|
p. 437-449
|
|
|
|
국경과 경계, 이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 Analyz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borders and migration
|
홍서영
|
p. 451-468
|
|
|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수준 분석과 디지털 교육내용 구성 방안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mpetency perception level and composition of digital education content
|
이영미
|
p. 469-487
|
|
|
|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과학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tific content production using edutech tools on the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of students at a science gifted school
|
김우겸
|
p. 489-509
|
|
|
|
분석도구 cosmoTA를 활용한 개구쟁이 아치 시리즈 그림책 텍스트의 문법 및 어휘 분석 = Grammar and vocabulary analysis in the text of naughty archie series picture books using the analysis tool cosmoTA
|
성미영, 장문수
|
p. 511-524
|
|
|
|
개업상담자의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자의식과 소진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of practicing counselor's stress and somatic symptoms
|
문호경, 김지현
|
p. 525-543
|
|
|
|
중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 애착 및 학교 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teacher attachment, and school attachment on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존감의 매개효과
|
방선경
|
p. 545-557
|
|
|
|
시선추적 기법과 회상적 사고 구술을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약하기 양상 분석 = Analysis of summarizing patterns of foreign college students using eye-tracking and retrospective think-aloud
|
곽도형
|
p. 559-578
|
|
|
|
슈퍼바이지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upervise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elf-disclosure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upervisor authenticity & emotional connection : 지각된 슈퍼바이저 진정성과 정서적 유대감의 이중매개효과
|
조영희, 김수임
|
p. 579-594
|
|
|
|
간호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 임상수행능력, 정신적 강인함이 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mental toughness on burnou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during practicum : a multiple mediation model analysis : 다중매개모형분석
|
조현나, 김도희
|
p. 613-626
|
|
|
|
청소년 신체활동 변화의 종단적 추이분석 = A longitudinal analysis of changes in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
정은주
|
p. 627-635
|
|
|
|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과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empathic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
황경미, 정지영, 정민영
|
p. 595-611
|
|
|
|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디지털리터러시 및 디지털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ies
|
차승환, 백승선, 김영실
|
p. 637-650
|
|
|
|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가활동만족도의 조절효과 =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production workers
|
조현미, 최웅용, 이윤주
|
p. 651-665
|
|
|
|
PBL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PBL experiences
|
김영제, 김민준, 박소민, 원종수, 김대권
|
p. 667-695
|
|
|
|
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하는 뉴미디어리터러시 융합놀이 수업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new media literacy convergence play classes with children and parents
|
김가영, 백성혜
|
p. 697-709
|
|
|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영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rofessionalism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그릿의 매개효과
|
김양희, 윤은정, 부성숙
|
p. 711-724
|
|
|
|
내담자의 주호소문제 구체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exploring on the experience of concretizing the chief complaint of counselee
|
조지은, 서이라, 홍기조, 이명우
|
p. 725-740
|
|
|
|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효과성과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justice
|
김미소, 김남용
|
p. 741-753
|
|
|
|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tudents'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ir depression in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academic helplessness : 학업무기력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최선경, 양지웅
|
p. 755-768
|
|
|
|
초등교사들의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한 인식 =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doption of AI digital textbooks
|
최서연, 차나리, 정현서, 노한나, 김대권
|
p. 769-791
|
|
|
|
Impact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 원장의 리더십 행동이 교사의 직무 만족과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교환 이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 유치원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multiple-case study of kindergartens in China through the lens of social exchange theory
|
Xin Qi, Man-Keun Yoon
|
p. 793-811
|
|
|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관련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송미선
|
p. 813-830
|
|
|
|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량 발달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vocabulary size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y
|
라창
|
p. 831-847
|
|
|
|
중학생 대상 문학동아리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Literature circles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operational case study : focusing on the influence on literary interpretation : 문학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이제은, 최인자
|
p. 849-874
|
|
|
|
미국 초⋅중등 통합운영학교의 특성 분석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이한솔, 권동택, 김진오, 김현욱
|
p. 875-892
|
|
|
|
금융업에 종사하는 임원의 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stress and coping experiences of executives working in the financial industry
|
하정, 조효진, 김봉아
|
p. 893-909
|
|
|
|
과학관 전시물과 대학 교양교육 콘텐츠 분석을 통한 인류세 교육 방안 모색 = A study on anthropocene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science museum exhibits and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s
|
백은숙, 박진영
|
p. 911-933
|
|
|
|
부부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intimacy : actor and partner effects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유지빈, 홍정순
|
p. 935-952
|
|
|
|
변화수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hange recipients' beliefs on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resilience : 조직공정성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황인섭
|
p. 953-967
|
|
|
|
초등 고학년의 자기주도성과 성격특성이 질문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ersonality traits on questioning behavior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case study of innovative school : 혁신학교 사례 중심으로
|
안화실
|
p. 969-985
|
|
|
|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기록에서 전문적 시각으로 살펴본 교사의 PCK = Explor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a professional vision in playdocument-play 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
최윤경
|
p. 987-1009
|
|
|
|
한국어 형용사 다의어의 교육용 의미 선정 및 등급화 = Selection and grading of meaning for education of Korean adjective polysemy
|
박아름
|
p. 1011-1025
|
|
|
|
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basic living habit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of infants
|
임해진
|
p. 1027-1041
|
|
|
|
메타버스에서 청소년의 관계 맺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dolescent's relationship experience in metaverse
|
서선미
|
p. 1043-1059
|
|
|
|
미국의 자국어 AI 디지털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국어과 개발에의 시사점 = Implication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AI digital textbooks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U.S. language art AI digital textbooks
|
최효성, 이경화
|
p. 1061-107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