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중재반응모형(RTI) 체제하에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평가(이하 CBA)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이 초등 3, 4학년 수학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Tier1 일반교육과 함께 CBA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3학년 109명, 4학년 107명, 총 216명의 검사 결과를 통해 선별된 60명의 학습곤란 학생 중, Tier2 소집단 중재 참여에 동의한 학생 29명을 실험집단, 동의하지 않은 학생 31명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Tier2 소집단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재 참여 여부를 설명변인으로 투입한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집단 중재 실시 이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실시 직후부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성취수준과 진전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CBA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은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ema-based cognitive-metacognitive Direct Instruction and progress monitoring using Curriculum Based Assessment (CBA)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mong 3rd and 4th grad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within a RTI framework. For this purpose, assessments using CBA were conducted alongside Tier 1 general education for 3rd and 4th graders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216 students (109 3rd graders and 107 4th graders), 60 students were identified as having learning difficulties. Among them, 29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ier 2 small-group intervention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maining 31 students formed the comparison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ier 2 small-group intervention, a piecewise growth model was tested, with participation in the intervention includ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The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prior to the intervention.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chievement levels and progres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mmediately following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ema-based cognitive-metacognitive Direct Instruction combined with progress monitoring using CBA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skills in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