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세륨 산화물 나노입자(CeO₂), 즉 나노세리아의 합성은 지난 10년 동안 다양한 과학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환경 친화적 합성 방법과 나노세리아의 항균 활성에 대한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우선, 나노세리아 합성에 있어 식물 및 미생물과 같은 생물학적 소재를 사용하는 방식이 환경 친화적 접근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은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 단백질 및 기타 영양 성분을 포함한 파이토케미컬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은 생리 활성 대사산물, 색소, 효소, 단백질, 산 및 항생제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이토케미컬과 대사산물은 금속염을 나노세리아로 환원시키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합성된 나노 입자에 안정성을 높여준다. 또한, 식물과 미생물을 사용한 나노세리아 합성은 단순하면서도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합성된 나노세리아는 생체 친화적 특성을 지닌다. 나노세리아는 항암, 항염증, 살충제, 효소 저해, 항생물막 및 항균 작용 등 다양한 생물의학적 응용이 보고되었지만, 이 논문에서는 특히 나노세리아의 항균능력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나노세리아의 항균 활성은 과도한 반응성 산소종(ROS) 생성, 세포막 손상, 세포 메커니즘 억제를 통해 발현된다. 결국, 이 리뷰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미생물 병원체를 치료하고 다른 질병을 극복하는 데 나노세리아가 중요한 치료제로서 지닌 잠재력에 대해 독자들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The synthesis of cerium oxide nanoparticles (nanoceria, CeO₂)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acros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sciplines in the last decade. This article explores an overview of the green synthesis method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nanoceria. The utilization of biological materials, such as plants and microorganisms, in the synthesis of nanoceria, has gained attention as an ecofriendly approach. Plants are rich in phytochemicals, including alkaloids, flavonoids, phenols, proteins, and other nutritious components. Likewise, microorganisms generate bioactive metabolites, pigments, enzymes, proteins, acids, and antibiotics. The phytochemicals and metabolites are involved in the reduction of metal salt into nanoceria and provide stability to synthesized nanoparticles. Nanoceria synthesis using plants and microorganisms is facile and ecofriendly, and synthesized nanoceria are biocompatible. Many biomedical applications of nanoceria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those that are anticancer, anti-inflammatory, larvicidal, enzyme inhibiting, antibiofilm, and antimicrobial. However,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and described in detail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nanoc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nanoceria occurs due to excessive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the impairment of the cell membrane, and the inhibition of cellular mechanisms. Ultimately, this review’s primary goal is to provide readers with a 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t achievements of nanoceria as a cutting-edge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a range of microbial pathogens and combating other diseas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