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숙련된 수퍼바이저 관점에서 상담 수퍼비전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숙련된 수퍼바이저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상담 수퍼비전에 관한 수퍼비전 구조, 내용, 방향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비전 빈도는 주 1회, 기간은 1년~2년, 방식은 자유롭게 논의하고 토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내용에 있어 수퍼바이지가 상담 수퍼비전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이해력, 통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수퍼바이지가 내담자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이루어졌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숙련된 수퍼바이저들이 수퍼비전에서 중요하게 바라보고 교육하는 내용으로는 의사소통 기술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셋째, 수퍼비전이 나아갈 방향에 있어 수퍼바이저는 자기이해에 기반한 인간적 성숙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수퍼바이지의 생각이나 의도를 고려하여 피드백을 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국내 상담 수퍼비전 체제의 개선점으로는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의 이중 관계 등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이 정립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결과에 따른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동학대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hild abuse experiences 서효형, 최은영 p. 1-23

학급단위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lass unit social improvement program on peer relations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lasses with children with ADHD tendency : ADHD 성향 아동이 있는 학급을 중심으로 김완수, 김경미 p. 25-44

자아존중감, 우울 및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 = Self-esteem, depress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compassion : 자기 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차유성, 윤혜지, 김영근 p. 45-62

고령자의 비자살적 자해 신념, 우울, 충동성, 상실감과 자해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 depression, impulsivity, sense of loss, and self-injurious behavior in elderly 김억환, 이영순 p. 63-81

거부민감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s :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oncept clarity :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은규, 유금란 p. 83-107

시설 퇴소 자립과정 청소년의 관계 경험 연구 = Relationship experiences of adolescents in the process of independent living after leaving the facility : based on grounded theory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송연주, 김수진 p. 109-129

자살 청소년 지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 자살 위험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through the experiences of peers of suicidal adolescents 이상하, 경서하, 이동훈 p. 131-155

초기 성인기 남녀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혜진, 김영근 p. 157-179

효과적인 상담 수퍼비전에 관한 인식조사 = A perceptions survey of effective counseling supervision : around experienced supervisors : 숙련된 수퍼바이저를 중심으로 강지유, 윤정훈, 천성문 p. 181-193

대학통합을 겪은 행정직원의 정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administrative personnel who underwent university mergers 김복정, 김장회 p. 19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