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부모 양육행동’ 관련 국내·외 전반적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부모 양육행동에 대한 이해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Wos)와 Web of Science의 KCI 카테고리에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부모 양육행동’ 와 ‘Parenting Behavior’의 키워드가 포함된 국내 401편, 국외 12,035편의 연구물을 수집하고 VOS viewer 프로그램으로 키워 빈도, 네트워크 시각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R 프로그램으로 중심성,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외 공통적으로 ‘양육 스트레스’, ‘우울’, ‘양육 스타일’, ‘아동 문제행동’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둘째, 국내의 네트워크의 전체 링크 수는 307개, 강도는 673로 나타났고, 국외 네트워크의 전체 링크 수는 2,527개, 강도는 14,082로 나타났으며, ‘양육 스트레스’는 국내·외 공통적으로 중심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였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의 에고 네트워크는 국내의 경우 ‘양육 효능감’, ‘결혼 갈등’ 등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국외의 경우 ‘자폐’, ‘ADHD’ 등과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넷째, 국내에서는 ‘어머니 양육 행동과 양육스트레스’, ‘아동의 사회적 역량’ 등의 군집이 나타났고, 국외에서는 ‘청소년기·영유아기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적 개입과 예방’과 관련한 군집이 출현하였다. 끝으로 국내·외 부모양육행동 연구에서 보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국내 부모 양육행동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parenting behavio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We collected 401 domestic studies and 12,035 international studies published from 2013 to 2022 that included keywords related to ‘부모 양육행동’ and ‘Parenting Behavior’ from the Web of Science (WoS) and the KCI category within WoS. We analyzed keyword frequency, network visualization, and cluster analysis using the VOS viewer program, and examined centrality and ego networks with the R program. The results firstly, both studies frequently featured keywords such a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parenting style’, and ‘child problem behavior’. Secondly, the total number of links in the domestic network was 307 with a strength of 673, whereas the international network had 2,527 links with a strength of 14,082. Thirdly, the ego network of ‘parenting stress’ in domestic studies showed strong connections with ‘parenting efficacy’, ‘marital conflict’, while in international studies it was strongly connected with ‘autism’, ‘ADHD’. Fourthly, domestic clusters included topics such as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ies’, while international clusters related to ‘adolescence and early child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interventions and preven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부모 양육행동’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parenting behavio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last 10 years (2013-2022) : 최근 10년(2013-2022)을 중심으로 지민선, 김예원, 박예정, 박종호 p. 1-28

초등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친구관계, 정서행동문제 간 구조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s, friend relationship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라성윤 p. 29-55

팀기반학습(TBL) 중심의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 = Chang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a team-based learning(TBL) centered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course : focusing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 인식과 태도 중심으로 조안나 p. 57-80

팀기반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가정연계 안전교육 영상콘텐츠 제작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reating safety education video content in family-connected through team-based learning 박부숙 p. 81-102

부모의 어린이집 신뢰가 부모-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trust in childcare centers o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volvement : 가족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혜령 p. 103-127

소아암 환아 돌봄자의 돌봄노동 실태와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state of care labor and support needs of caregiv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김선희, 신원정, 유진희 p. 129-157

부모의 고정마인드셋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 = The association between fixed mindset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 부정적 양육행동과 부모-자녀관계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수란, 기쁘다 p. 159-177

부모-자녀 관계 증진 부모교육(CPRT)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민감성,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CPRT) on parenting efficacy, sensitivity, and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 utilizing play video feedback : 놀이 영상 피드백 활용 최미경 p. 179-207

유아 사회정서역량 함양 및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증거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방안 모색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to foster early childhood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prevent challenging behaviors 김남임 p. 209-237

다문화가정 중학교 3학년 청소년이 지각하는 교사지지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third-grade middle school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aptation to learning activities :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김혜금 p. 239-251

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인지적 유연성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appi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preschool teachers 차미숙, 이유미 p. 253-272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부모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eacher-parent interaction 손수민 p. 273-292

다문화가정 외국인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서 방임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of foreign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self-esteem of early adolescents 노성향 p. 293-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