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톰 후퍼가 연출한 작품에서 역사적 실존 인물들을 어떻게 스토리텔링 했는지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독의 해당 작품들을 이야기 단계별로 정리하고, 각 단계에 나타나는 감독의 이야기 방식이 가지는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톰 후퍼의 프롤로그는 자막을 통해 역사적 인물의 시대와 장소(배경)를 소개하고, 이어지는 장면을 통해 직업이나 성격을 알려주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주인공의 가족을 등장시켜 역사적 인물에게 관객이 감정이입을 할 수 있게 하거나, 기후를 통해 주인공의 현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어서 발단에서는 인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첫 사건이 등장해 향후 그가 휘말리게 될 미래의 사건과 역사의 계기를 제시한다. 감독은 이 단계를 통해 앞으로 펼쳐질 역사적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 궁금증, 미래 예측을 유발했다. 감독의 작품에서 도발적 사건은 주인공의 선택이나 행동을 통해 일어나거나, 자신의 태도를 통해 사건으로 인식하는 특징이 있다. 그 선택은 개인이었던 주인공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시발점이 된다. 또한, 고통받고 있던 인물에게 삶을 변화시킬 조력자를 등장시키거나 주인공의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기능했다. 톰 후퍼의 전개는 일반적인 단계의 과정과는 다른 형태를 가진다. 원래 이 단계의 후반부는 인물의 목표가 적대자(장애물)와 마주하면서 갈등이 증폭된다. 그런데 감독의 작품에서는 주인공이 역사적 인물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역사적 흐름 속에 사건들이 일어나는 형식을 구성하고 있어, 이 단계는 주인공에게 일어났던 단일한 사건이 해결되는 것으로 끝나고, 새로운 갈등은 다음 단계에서 파생된다. 톰 후퍼의 위기 단계는 주인공 행동의 결과로 조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이 속한 사회의 시대적 변화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가 해당 시대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형제가 다른 선택을 했기 때문에 주인공은 운명의 향방이 바뀐다. 이어지는 절정 단계는 인물이 맞이한 역사적 운명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다시 한번 주인공의 선택으로 불가역의 결정을 하거나, 추구한 목표의 성패를 맞이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주인공은 자신의 역사를 완성하게 된다. 또한, 많은 작품이 절정에서 이야기가 끝나는 방향으로 향하는데, 그의 작품들은 새로운 역사적 이야기의 발화점을 제시한다는 특징이 있다. 톰 후퍼 이야기의 결말은 인물이 흐르는 역사 속에서 선택을 통해 그 중심으로 들어가거나, 추구하는 어떤 것의 성패가 결정된 시기를 보여준다. 이 단계의 특징은 주인공의 삶을 결정하는 하나의 큰 역사가 종결되고, 다시 다음 역사로 이어지는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적 인물들은 이 단계를 통해 다음 역사로 향하거나 잘못된 선택을 수정한다. 끝으로 에필로그의 특징은 인물의 후일담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에 있다. 실패한 선택을 바로잡아 재기한 주인공, 삶의 변화를 준 인물과의 우정, 새 삶에서 용기를 보인 인물에 대한 설명이 그것이다. 이런 구성은 주인공들이 특정 시기와 국가에 존재했던 인물이므로, 인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관객의 이해와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극제작(Theatre Production) 수업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generative AI in theatre production class 김영윤, 조준희 p. 1-18

영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movies 송영, 김미림 p. 19-37

생성형 AI를 활용한 메타버스 공연제작 활동이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etaverse performance production activities using generative AI on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self-efficacy 김민경 p. 39-59

국내·외 음악대학 플루트 전공 입시곡 분석 = Analysis of entrance exam music for flute majors at domestic and foreign music colleges 추상희, 최진호 p. 61-78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과정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과제 탐색 = Analysis of priorities of policy implementation tasks for revitalizing VR educational courses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eachers and VR education content developers : 초·중·고 교사 및 VR교육콘텐츠 개발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기윤, 박선호, 송예진 p. 79-96

음악교육철학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trends in research 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박종혁, 조대현 p. 97-119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국악 관련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방안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한윤이 p. 121-143

스토리 창작교육에 있어 로그라인의 문제설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logline's problem setting in story creation education 김의준 p. 145-161

예술학교 음악 전공 중학생의 전문 음악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전공만족도 =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pecializ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music at an arts school 이은미, 이수연 p. 163-177

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에서의 음악 활용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 of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 in secondary education 정서희, 김수지 p. 179-195

유아교사의 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적용의 실제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on traditional art education 장민희, 박형신 p. 197-220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운영형태 및 프로그램(예술)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elementary Neulbom School program(arts) :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윤관기 p. 221-236

제1차~제3차 교육과정 시기의 국민학교 1~2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 Analysis of music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rom the 1st to the 3rd curriculum period 김은주 p. 237-258

영화적 경험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들뢰즈적 탐색 = A Deleuzian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cinematic experience : focusing on Hirokazu Kore-eda's film MONSTER :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 <괴물>을 중심으로 이윤정, 최진 p. 259-278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음악 창작 평가 도구 제안 = Research on music creation evaluation rubric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정윤정 p. 279-298

학교예술강사의 초등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school arts instructors : focusing on the subject classes of arts instructors in schools in Gyeonggido : 경기도 학교예술강사의 교과수업을 중심으로 박은주 p. 299-316

인구소멸 위험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성과 분석 =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utcomes in depopulation risk areas : focusing on interviews with supervisor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2023 'Our Local Art School' in rural areas : 2023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사업 참여 장학사 및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장연주, 김경태, 손민혜, 김지현 p. 317-337

영화제작교육을 위한 장편영화 주제 변화 양태 분석 = Analysis of thematic changes in feature films for film production education : focusing on works support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for independent feature film production :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장편영화 제작지원작을 중심으로 이수진, 김석범 p. 339-360

필름에서 디지털로 = From film to digital : a study on techniques of expanded temporal expression in experimental cinema : 실험영화에서 확장적 시간 표현에 대한 기법 연구 전준혁 p. 361-379

디지털 시대의 영상 자서전 연구 = A study on video autobiography in the digital age 최유진, 변재란 p. 381-393

성인 발달장애인의 연극놀이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Validation of a creative drama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영란, 박진영 p. 395-424

공연예술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람만족, 관객감정, 행동의도 간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servicescape of performing arts on audience satisfaction, emotions, and behaviors 김주영, 윤학로 p. 425-445

초연결사회에서 지역전통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 = Sustainability of local heritag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 building productive partnerships for the Onggi transmission community : 옹기전승공동체의 생산적인 관계구축 백경미 p. 447-467

한국어 뮤지컬 보컬 교육의 질적 제고 방안 =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Korean musical vocal education :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learners : 내·외국인 학습자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혜 p. 469-487

학습자 경험을 통한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고찰 = Consideration on voc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through learner experiences 이동하, 서근영 p. 489-510

역사적 인물에 대한 톰 후퍼의 스토리텔링 방식 연구 = Study of Tom Hooper's storytelling approach to historical figures : John Adams, Damned United, and The King's Speech : <존 애덤스>, <댐드 유나이티드>, <킹스 스피치> 김삼력 p. 511-534

2000년대 이후 발레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domestic ballet education since the 2000s 성지선 p. 535-551

긍정심리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미용강사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ositive psychology on the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 ability of companion animal beauty instructors 유주연, 유영미 p. 55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