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보육교사와 부모 간의 소통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교사의 노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26일부터 9월 31일까지 심층 면담을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면서 학부모와 소통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는 부모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학부모와 신뢰를 쌓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는 원장이 버팀목 역할을 하며 의지할 수 있는 존재가 되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요구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교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보육교사, 학부모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르침에 대한 중국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eaching by using analysis of the concept map 정예흠, 조부경 p. 5-31

부모-아동 상호작용 시 사용언어에 따른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비교 = Comparison of children's communicative behaviors depending on the language used by their mothers during the interactive play : 놀이 상황을 중심으로 김아영, 김지연, 김차령, 이륜하, 장예림, 정유라, 김영현, 김예림, 임동선 p. 32-62

영아교사의 부모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rent education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고영실, 권이정 p. 63-90

보육교사가 학부모와 소통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노력 = Difficulties and efforts of nursery teachers in communicating with parents 김은혜, 여선주 p. 91-117

유치원 교육과정 예술관련 영역의 구성, 목표, 내용의 변화 탐색 = Changes in the area of 'aesthetic art'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이가빈, 김정미 p. 118-146

초임 유아교사의 페다고지 생성 과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pedagogy : focusing o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 공립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장우정, 이연선 p. 147-173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학교 1학년 한글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 Teacher's experiences in Hangeu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o first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이은영, 안정은 p. 174-202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놀이를 운영할 때 8년차 김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 Difficulties encountered by an 8-year experienced teacher in implementing digital play based on a play-centered curriculum 손혜진 p. 203-231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디지털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the digital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 홍지혜, 이경화 p. 232-250

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세계시민교육 실행의 어려움 =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나예원, 김고은 p. 251-280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에 대한 메타포 분석 = Metaphor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for children 고윤희, 김인애 p. 281-299

유아교사의 자기조절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efficacy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차정주, 문가영 p. 300-320

유아교육 분야의 인공지능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김영아, 박다은 p. 321-341

유-초 이음 관련 ‘학교’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탐색 = Exploring children's responses during 'school' picture book reading for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transition 한주희, 김호 p. 342-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