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통합돌봄에서 사회적 경제가 기존 서비스 영역과 다른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단순히 서비스 공급량을 확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참여를 이해하는 것이 새로운 서비스 영역의 등장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통합돌봄에서 사회적 경제가 가지는 도구로서의 가치를 ‘공동체 회복’과 ‘협력’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 자본으로 귀결될 수 있음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우리마을 대안가족사업’을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틀로는 조직생애사 틀을 수정하여, 준비와 생성, 적용과 성장, 변화와 위기라는 3단계 과정으로 적용·정리하였다. 본 사례를 통해 진행 과정에서 지원조직인 우리마을 법인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업과 관련한 외부 환경 변화의 영향(긍정/부정)을 함께 정리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내용이 주민 참여와 공동체성 회복이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사회적 경제 활동의 역할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사업에 필요한 논의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체계 분석 및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모델 운영 방안 = Analysis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and operation plan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model : focusing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legal hierarchy : 생태학적 관점과 법적 위계 중심으로 황미경 p. 5-33
사회복지사의 창의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reativity of social workers on job performance 김봉선, 김정아 p. 35-55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노인학대 발생 요인 예측에 관한 연구 = Prediction model for contributing factors to elder abuse : focusing on National Survey of Older Persons of Korean in 2020 :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민철 p. 57-82
베이비붐 세대의 신체적 노화인지수준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ffect of physical aging cognitive level on happiness of baby boomers : psychosocial aging attitude, centered on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hysical age-friendly environment : 심리사회적 노화태도, 물리적 고령친화환경의 다중매개효과중심으로 조추용 p. 83-111
영유아 교사의 가족건강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family strength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 효과 이신옥, 정종화 p. 113-137
노인요양시설 사람중심케어와 평가제도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 A study on person-centered 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ssociated with evaluation 임송자, 이영주, 권현정 p. 139-170
한국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 개인적 자원, 경제적 자원, 사회·환경적 자원을 중심으로 장은하, 홍석호 p. 171-196
사회적 경제를 활용한 지역사회통합돌봄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community care using social economy : focusing on 'Busan our village alternative family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social capital of participating residents : 참여주민의 사회적 자본 구축의 관점에서 부산 우리마을 ‘대안가족사업’ 손지현, 박무일 p. 19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