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및 외로움의 관계를 확인하고,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 노인종합복지관에 등록된 여성 독거노인 125명으로, 자료수집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사회적 지지(β=-.45, p〈.001), 회복탄력성(β=-.26,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9.8%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의 향상을 통해 여성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4세대 아이돌 팬덤의 심리적 특성이 구매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4th generation idol fandom on purchasing attitude,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Zalpha generation : 잘파(Zalpha)세대를 중심으로 김현수, 김다연, 박지수, 이정합 p. 1-15
관광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성취, 자기효능감, 진로(취업) 결정이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career(employment) decision on grit :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tourism 이동근, 김주희 p. 17-25
국내 FAST 산업에 대한 IPTV 업계의 대응방안에 관한 미디어전문가의 인식 = Media experts' perceptions on IPTV industry strategies for Korea's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industry 김형만, 이성엽 p. 27-36
OTT 다큐멘터리에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영상 미학 연구 = A study on video aesthetics that strengthens storytelling in OTT documentaries : focusing on <I Am God> and <Even Good Gods Pray and Obey> : <나는 신이다>와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를 중심으로 박민서 p. 37-49
실제적 및 이상적 자아 일치성이 지역문화 축제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on intention to continuously of local cultural festivals 이지훈, 강준모 p. 51-62
성적 괴롭힘 피해 연예인을 위한 인권행동의사에 정서적 공감이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motional concern on the intention to act on human rights for celebrities victimized by sexual harassment :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perspective-taking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 관점취하기와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희진, 이원준 p. 63-77
Analysis of hobby friendships among university-affiliated taekwondo athlet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학 소속 태권도 선수들의 취미 친구관계 분석 Byung-O Ahn, Sung-Min Son p. 79-88
그릿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 능력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 Grit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in nursing students impact o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program 최미정, 허명 p. 89-98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학습 성과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and learning outcome in team-based project learning :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좌현숙 p. 99-110
그릿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it on life satisfaction of an adolesc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일영 p. 111-120
가상현실(VR)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에서의 학습효과 연구 = A study on learning effects in basic medicine classes applying virtual reality(VR) 이문영 p. 121-129
고혈압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patients : utilizing data from Korea Health Panel :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정재혁, 조성현 p. 131-144

지역사회 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loneliness among female older adults community dwellers living alone : focused on Seongnam City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박영선, 한은경 p. 145-152

성인여성의 건강 특성이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에 미치는 요인분석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reast and cervical cancer in adult women 김민아, 정현정 p. 153-161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컬러테라피의 효과 및 참여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olor therapy applied to stroke patients : mixed-methods research : 혼합연구설계 안희수, 김덕주 p. 163-174
기계적 견인 치료가 손목굴 증후군 환자의 통증, 악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echanical wrist traction on pain, grip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인태성 p. 175-182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ment and effectiveness of healing program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outside of school 송지현, 김수진, 제김남석 p. 183-192
웰니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wellness mental health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국민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양유정 p. 193-204
게임 개발에서의 베지어 곡선 최적화 = Optimization of Bezier curves in game development : performance analysis of general implementation and quantization techniques : 일반 구현과 양자화 기법의 성능 분석 김태환 p. 20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