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수학 학습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인으로 기능하는 수감각을 주제로 하여, 수감각 중재 프로그램 연구의 일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세부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등재(후보)연구물 총 16편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동향 측면에서 볼 때, 수감각 중재 관련 연구는 2019년부터 2022까지 활발히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 및 초등저학년이었으며, 중재는 주로 연구자 및 교사에 의해 교실에서 이루어졌다.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제시와 관련해서는 둘 다 제시하거나 둘 중 한가지만이라도 제시한 경우가(10편, 63%)이 둘 다 제시하지 않은 비율(6편, 38%)보다 많았다. 둘째, 프로그램 내용 분석 측면에서 볼 때, 연구흐름으로는 초기 수감각(ENS)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독립변인은 다양했으며, 종속변인은 수학성취도와 수감각이 주요했다. 또한 주로 다루어진 수학 영역은 수와 연산이었고, 각 영역에서 모두 1부터 20까지의 수 범위 안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수감각 중재 관련 연구의 연구주체를 확인한 결과 교육현장 실무를 맡고 있는 인력들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감각 연구흐름의 구분, 수감각 중재 프로그램 내용,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감각 중재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number sense 홍성두, 조은혜 p. 1-21

채식급식 기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vegetarian meals 오현숙, 이상원 p. 23-50

중학생의 사교육 진로진학 컨설팅에 대한 인식 =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조민정, 정남용 p. 51-67

초등학생의 교육공정성 인식 수준이 성장 마인드셋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매개 효과 = Diagnosis of the level of educational fair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fair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chool satisfaction 김규태, 이석열, 서재복, 김훈호, 정성수 p. 69-87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디지털 교과서 선도학교의 기술 성숙도와 기술활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technological maturity and utilization changes of AI digital textbook leading schools for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이종승, 이재진 p. 89-119

약탈 문화재 반환에 대한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의 모색 = A search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method for returning looted cultural properties 정재요, 박혜진 p. 121-140

초등영어 파닉스 지도에서 최소대립쌍의 중요성과 활용 방안 = The importance of minimal pairs for phonics instruction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how to utilize them : from a linguistics point of view : 언어학적 관점에서 손중선 p. 141-159

우리나라와 일본 초등학교 특수 수학 교과서 분석 = Analysis of specia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horizontal analysis : 수평적 분석을 중심으로 박재현, 한성훈, 신용훈 p. 16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