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난대 임분의 주요 산림치유 인자인 NVOCs 성분 및 포집량, 발산의 특성, NVOCs 포집량과 기상인자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지는 전라남도 완도수목원 난대 임분에서 수행하였으며, 수변지역, 계류지역, 산림지역으로 임분의 위치를 구분하였다. 조사구별 식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고, NVOCs 포집은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오전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특히, 5월, 7월, 9월에는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포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식물 군집구조 경우, 교목층에서는 붉가시나무,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보였다. 둘째, 월별 NVOCs 총 포집량은 10월〉8월〉6월 순으로 나타났으며, α-Pinene이 31.708 ppm(23%)으로 가장 높은 포집량을 보였다. 셋째, 24시간 NVOCs 총 포집량의 경우, 5월은 α-Pinene〉Eucalyptol〉Linalool, 7월은 α-Pinene〉Eucalyptol〉trans-Sabinene hydrate, 9월은 α-Pinene〉Eucalyptol〉trans-Sabinene hydrate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 발산 경향으로 5월은 22:30~01:30, 7월은 19:30~22:30, 9월은 16:30~19:30 구간에서 높은 NVOCs를 보였다. 넷째, 월별 및 24시간 NVOCs 포집량과 기상인자와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기온도와 상대습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3%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난대림 NVOCs 포집량 및 발산 경향에 대한 특성을 보다 더 명확하게 구명하기 위해서는 시간별, 임분별, 장소별에 의한 다양한 자료의 수집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with meteorological factors of NVOCs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 key forest healing factor, in warm temperate forest stand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warm temperate forest stands of Wando Arboretum, Jeollanam-do, South Korea, with forest stands categorized into riparian, streamside, and forest areas based on their locati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was surveyed for each plot, and NVOC emission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May to October between 10:30 AM and 11:30 AM for one hour. In particular,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three hours over a 24-hour period in May, July, and September.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Quercus acuta Thunb.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in the canopy layer, while Camellia japonica L. was dominant in the understory layer. Second, the total monthly NVOC sampling volume was highest in October, followed by August and June, with α-Pinene exhibiting the highest amount at 31.708 ppm (23%). Third, for the total 24-hour NVOC sampling volume, α-Pinene〉Eucalyptol〉Linalool were predominant in May, while α-Pinene〉Eucalyptol〉trans-Sabinene hydrate were prevalent in both July and September. The temporal emission trends indicated that NVOC emissions peaked between 22:30 and 01:30 in May, between 19:30 and 22:30 in July, and between 16:30 and 19:30 in September. Fourth,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onthly and 24-hour NVOC sampling volume and meteorological factors showed that both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regression model explaining over 53% of the variance,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To more clearly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NVOC emissions and trends in warm temperate fores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diverse data across different times, forest stands, and location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