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 교수의 리더십을 탐색하기 위해 2023년 공교육정상화 집회 현상을 하나의 사례(a case)로 보고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리더(leader)로서의 교육대학 교수, 팔로워(follower)로서의 예비교사, 현직교사를 연구참여자로 하는 복합 분석단위(unit) 탐색적 단일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교육대학 교수에 대한 진심 어린 팔로잉(following)은 ‘강의 내용의 현장 연계성’, 교수ㆍ 학생 간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회 과정에서 교수들이 역동성을 갖게된 것은 교육대학 교수이자 초등교사를 배출해내는 스승으로서 사회에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합당하다는 ‘도덕적 분별력’, 교사들과 함께 외칠 때 교육사회의 아픔은 치유되고 반드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긍정적인 심리적 능력’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회 이후에 교수들은 그동안 교수들의 진심이 학생들에게 닿지 못했다는 ‘자아 인식’이 강화되면서 적극적인 상호작용 강화 방식에 대해 고민하였다. 또한 대학원 수업 시에도 제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현장 실태에 대해 더욱 경청하고자 하는 등 리더로서 ‘균형 잡힌 정보처리’가 더욱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교내에서의 수업 방식의 변화 및 문화 개선 이외에도 교육사회 리더로서 자신의 ‘내면화된 도덕적 시각’과, 리더 스스로의 모습을 팔로워들에게 정직하게 공개하는 ‘관계의 투명성’을 더욱 강조하면서 교육사회 개선을 위한 적극적 행동(action)으로 나아갔다. 종합해보면, 교육대학 교수의 리더십은 진성 리더십의 요소 및 강화 매커니즘과 대개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례 내 교육대학 교수들이 보여준 리더십과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수상(像)이 무엇인가에 대해 탐색해보면서, 궁극적으로 교육대학 교수만이 갖추어야 하는 특수한 리더십의 양상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rallies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 2023 as a case study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centered on the authentic leadership theory. Moreover, it investigates the leadership exhibited by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desired image of professors a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 single case study was undertaken, involving several units, with a professor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leader, a pre-service teacher as the follower, and in-service teachers as participants. The primary findings are as listed below. Genuine engagement with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s facilitated by the “field connection of lecture contents” and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During the rally, professors became dynamic, evincing the following: moral reason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acities, alleviating the suffering of the educational society by, for example, shouting with teachers, and strengthening self-awareness. It also highlights fostering preservice teachers’ pride through active encouragement and support, promoting balanced processing through, for example, attentive listening to the actual situation, cultivating an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as a leader of the educational society, and practicing relational transparency by being authentic to followers. The leadership exhibited by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ligns with the principles of genuine leadership and the reinforcement mechan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deeper exploration of the unique aspects of leadership specific to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