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10년대 전통연희와 신파극과 관련해 아직 연구가 미진한 1910년대 신파극과의 관계 속에서 전개된 전통연희공연의 양상을 이 시기와 관련한 핵심논제 중 극장과 경성구파배우조합에 국한해 선행연구의 내용을 중심으로 재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논의와는 여러모로 큰 차이가 있었다. 그간 1910년대 신파극의 유입으로 극장에서 전통연희공연은 축소되었다고 판단해왔다. 그러나 1910년대 당시 대표적인 조선인 극장 가운데 신파극을 적극 수용해 전용 극장으로 운영했던 연흥사를 제외하고는 운영 기간별로 광무대, 장안사, 단성사에서 전통연희는 공연의 빈도에 있어 1910년대 전후반기에 걸쳐 신파극에 비해 수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성구파배우조합의 결성은 신파극의 흥행에 따른 전통연희공연의 위축에 의한 영향보다는 일제가 1915년 식민지 지배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철저히 준비했던 물산공진회에서의 여흥을 담당하기 위해 일제의 허가를 받고 조직되었다는 데 무게를 둘 수 있었다. 나아가 경성구파배우조합이 전개했던 ‘신구파 공연’이란 신파극단에 의한 공연이 아닌 구파배우들에 의한 신파극 공연이었으며 경성구파배우조합이 조직했던 ‘신파개량단’은 존립의 위기에 놓여 있던 신파연극인들을 위한 경성구파배우조합의 협력에 따른 조치였다는 데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춘호의 산조 협주곡과 어쿠스틱 기타 비르투오서티(Virtuosity) = The Sanjo concerto for acoustic guitar composed by Ham Chun-ho and his guitar virtuosity 권도희 p. 9-38
라미라가극단(羅美羅歌劇團)의 설립 의의와 공연 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ment and current performance status of Ramiraga Opera Troupe (Ramira Gageukdan) 김남석 p. 39-76
1910년대 신파극의 등장과 전통연희공연의 전개양상 = The rise of Sinpageuk and the development of Yeonhui in the 1910s 김민수 p. 79-104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 소재 당악정재(唐樂呈才)에 나타나는 채련곡(採蓮曲) 공연 요소 고찰 = A study of performance elements of "Cailian qu" presented in Dangakjeongjae 김수희 p. 105-132
김세종제 <춘향가>의 평조와 우조 = A study on Pyeongjo and Ujo in the Kim Sejong version of Chunhyangga 문봉석 p. 133-156
최한기 『기측체의(氣測體義)』 음악관 연구 = A study on the music theory in Choe Han-gi's Gicheukcheui 심지우 p. 157-174
교원 양성기관의 국악 교육과정 제안 = The proposal for Gugak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focusing on the music education and curriculum in teacher training collegess :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선미, 이성초 p. 177-208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연계한 민요 지도방안 = A teaching method for folk songs link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focus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 in the lyrics of Wido Island's "Garaesori" : 위도 가래소리의 가사에 담긴 생태관 탐구를 중심으로 이장원 p. 209-236
공연 분야 전문인력 양성 사례로 살펴본 국악 분야 전문인력 양성의 흐름과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an improvement plan for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Gugak field through cases of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performing arts 이정희 p. 237-262
경제 범패 안채비소리 ‘개탁성’의 음악적 특징과 기능 =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Gaetakseong', an Anchaebisori of Gyeongje Beompae 차형석 p. 263-296
버나놀이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의 연구와 실제 =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elementary Gugak classes using Beona-nori 하혜린, 김성한 p. 297-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