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주거지 상업젠트리피케이션 발생기전과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주거지에서상업공간을 공급하는 메커니즘과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연구는 주거지 상업화는 소비문화의 변화뿐 아니라, 주거지 상업공간 조성을 통해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추동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과정은 동네 주민을 주변화하고, 동네의 경제사회적 축소를 동반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주민의 위협에 대한 지각 방식과 다문화 수용성 = Perceived immigrant threat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concrete and abstract perceptions : 구체적 인식과 추상적 인식 허정원, 장주영 p. 8-33
‘정주’와 ‘계속 이주’ 사이에서의 딜레마 = The dilemma between 'settlement' and 'onward migration' : cultural adaptation and transnational mobility strategies among Iranian international female students in South Korea : 한국의 이란 여성 유학생들의 문화적 적응과 초국가적 이동성의 전략 구기연 p. 34-75
한국 사회 도시 공동자원인 길에서의 아동 울타리치기와 아동 돌봄의 변화 = Enclosure of children from urban streets as commons and changes in childcare in Korean society : focusing on the 1920s to the 1990s : 1920~1990년대를 중심으로 황명주, 윤순진 p. 78-138
다층적·관계적 공간으로서의 성소수자의 집 = LGBTQ+ home, the multi-scalar and relational space : focusing on the home experiences of young LGBTQ+ 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 청년 성소수자 1인 가구의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김대훈 p. 139-182
주거지 상업젠트리피케이션 발생기전과 동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usal mechanism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and its impact on the community : a structural approach : 구조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남지 p. 183-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