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삼명통회(三命通會)』 「원조화지시(原造化之始)」편을 통해 그 저자가 지닌 주자학의 이기론(理氣論)적 세계관을 살펴본다. 만민영(萬民英)이 『논어』 「안연」편에서 사마우와 자하가 나눈 명(命)과 천(天)에 대한 대화의 『논어집주』 글을 인용하면서 ‘음양’과 ‘천’이라는 단어로 글자 출입을 가한 것은, 『맹자집주』에서의 천명론(天命論)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는 자신이 지닌 운명론적 관념이 주자의 학문적 사유를 토대로 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는데, 타고난 것 못지않게 스스로의 힘으로 축적하는 인위적인 수양의 중요성을 말하였다. 게다가, 그 타고난 것 역시 부모의 수양이라는 인간의 노력이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라고 보았다. 이것은 제아무리 훌륭한 사주가 세팅되었고 또 좋은 운까지 만났더라도, 결국 사람의 절실한 수신제가(修身齊家)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한 시대를 이끄는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없음을 역설한 것이다.

전통 시대에 만들어진 사주명리의 이론과 간명(看命)에서 부귀함의 상징인 재성(財星)⋅관성(官星)이 상대적으로 크게 중시된 이유는, 그 당시 개인의 능력을 사회에 펼칠 방법이 녹봉을 받는 전문 관료가 되어 조정과 사회의 리더로서의 자질을 입증할 수 있는 조건에 있게 된 이후에나 가능했기 때문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一齋 李恒의 학문 위상과 교유 양상 = The academic status and intellectual relationships of Yi Hang 오보라 p. 9-35

번암 채제공의 시문과 유사 엮어 읽기 = The mixed reading Beonam(樊巖) Chae je-gong's literature and records : focusing on Yugyeong(李儒慶)'s Chae, Jegong(蔡濟恭) Yusa(遺事) : 이유경의 「번암구야유사」를 중심으로 권진옥 p. 37-64

조선시대 과거 잠⋅명⋅송(箴銘頌) 시제 연구 = A study on examination question of Jam, Myeong, and Song (箴銘頌) in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the tenses quoted in Chinese classics : 경문에서 인용한 시제를 중심으로 윤선영 p. 65-94

중국 고전 서사에 나타난 황제의 형상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hape of the emperor in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 : 애정 서사를 중심으로 주준영 p. 95-123

이회영 선생의 독립운동 정신과 행동 = Lee Hoi-young's spirit and action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조상우 p. 125-152

병자호란 實記로 본 扈從臣과 勤王兵의 응전 양상 = The response of the royal guard and the royal army as seen in the Silki of the Byeongja-Horan(the Manchu War of 1636) 장경남 p. 153-180

조선후기 李瀷의 경험과 군현제론 = Life of Lee-ik and local administrative policy in late Joseon Dynasty 이선희 p. 181-210

여성 교훈서로서의 『소학』과 그 실천의 의미 고찰 =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the Little Learning as a women's instructional book and its practice 이은봉 p. 211-234

『삼명통회』에서의 주자학적 사유에 입각한 사주명리 세계관 성찰 = A study on the world view of Sajumyeongli(四柱命理) based on neo-Confucianism in 「Sān Mìng Tōng Huì(三命通會)」 : focusing on chapter 「Yuán Zàohuà zhī Shǐ(原造化之始)」. B : 「원조화지시(原造化之始)」편을 중심으로. B 서정화 p. 235-267

주자학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 Implementation plan for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Zhu Xi : focusing on the 4th grade elementary Moral Education unit "moral studies, happy us" : 초등 4학년 『도덕』 ‘도덕 공부, 행복한 우리’ 단원을 중심으로 한지윤 p. 269-305

「전통무예진흥법」 개정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he revision of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Promotion Act」 곽낙현 p. 307-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