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함경도와 강원도 지역에서의 어교 산출의 실제를 비롯하여 각 군현 별 산출 수산물과 산출이 기대되는 어교의 종류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함경도의 경우 정부의 공적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연어교를 직접 생산했다. 이러한 내용은 함경도가 어교의 생산지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특히 삼수군과 갑산군을 제외한 바다 인접 군현의 대부분에서 연어를 산출시킴으로써 연어교 생산 환경 역시 매우 양호했다.

함경도의 경우 해삼교의 생산 가능성도 적극 상정되었다. 슬해와 해삼위 등 두만강 하류 인근 북쪽 지역에서 전개된 해삼교 생산에 관한 정보의 유입과 공유, 그리고 함경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전개된 해삼의 산출, 나아가 어교 제조를 위해 해삼을 해외로 반출한 사례 등은 그러한 관점을 강하게 뒷받침했다. 이외에 사어, 은구어, 게 등도 산출되었기 때문에 어타, 은구어교, 오교 등의 생산 가능성도 고려했다.

강원도의 경우 어교 생산을 구체화해주는 기록을 찾기 어려웠다. 하지만 함경도 인접 지역으로서 연어교와 해삼교에 관한 정보의 수취 및 공유가 어렵지 않은 상황이었고, 강원도 내 바다 인접 군현 대부분에서 연어와 해삼을 산출했기 때문에 연어교와 해삼교의 생산을 적극 상정했다. 특히 강원도 내 각 군현에서 필요로 하는 어교를 중앙 정부에서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민간의 사적 소비는 물론이고 국가 기관의 공적 소비에 부응하기 위해 어교 생산 필요성이 적극 요구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상의 내용은 어교가 공물로 분정되지 않음으로써 생산지로서 전혀 인식되지 않던 함경도와 강원도 지역의 어교 생산에 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 나아가 향후 이들 지역에서 전개된 어교의 유통 및 소비를 검토하고자 할 경우 간과할 수 없는 내용을 제공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궐도(東闕圖)의 모티브를 차용한 작품 연구 =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Donggwoldo : based on the work of the researcher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연 p. 5-36
한국 현대 미술에 나타난 ‘기운생동’ 표현 연구 = A study of Xie He’s concept of spirit resonance and vital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the work of Lee Seung-taek and Ji Yong-ho : 이승택과 지용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혁준 p. 37-62
서울미술관 전시와 80년대 형상미술의 전개 = Figurative art in the 1980s and the exhibitions at Galerie de Séoul : focusing on artists in focus : 《문제작가전》을 중심으로 기혜경 p. 63-90
해방과 전쟁 이후 한국 현대 추상회화의 한 단면 = An aspect of Korean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s after the independence and Korean War : the early abstract works of Chung, Mun Kyu : 정문규의 초기 추상작품을 중심으로 장원 p. 91-114
칸딘스키(W. Kandinsky, 1866-1944)의 <핸드 리스트>에서 나타나는 매제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vehicles in Kandinsky’s “Hand List” : focusing on the use of vehicles by Botticelli and Kandinsky :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1445-1510)와 칸딘스키의 매제활용을 중심으로 시원상 p. 115-140
汪启淑『飞鸿堂印人传』印学价值探究 = Research on the seal value of Biography of Feihongtang Engravers by Wang Qishu 吴林, 张庆丰 p. 141-156
예술의 창의적 특성과 ‘자폐 증상’의 상관성에 관한 시론(試論) = A theor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characteristics of art and ‘autism symptoms’ 유영미 p. 157-182
패션산업서비스 현장에 있어서 호스피탈리티 매니지먼트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ospitality management in the fashion industry service field 사사키 치카 p. 183-208
조선시대 문헌 속 ‘칠(漆)’ 명칭 고찰 = Semantic analysis of ‘Chil(漆)’ in Joseon Dynasty literature 조규혁, 정선화 p. 209-237
조선시대 함경도 및 강원도 지역의 어교(魚膠) 생산과 산출 어교의 종류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fish glues and the types of fish glues produced in Hamgyeong-do and Gangwon-do during the Joseon Dynasty 김병모 p. 239-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