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정권별 정부PR을 비교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활용한 SNS의 주요 요인을 비교 분석한 뒤, 정부PR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NS를 활용한 정부PR의 중요 요인 8개 모두 문재인정부의 정부PR이 박근혜 정부 시절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그리고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평가 모두 신속성과 정보성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신뢰성과 상호통제성은 두 정권 모두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다음으로 정부PR 만족도 따라 SNS를 활용한 정부PR의 차이는정부PR에 대해 만족도가 높을수록 SNS를 활용한 정부PR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정부PR에 만족, 보통, 불만족한 국민들 모두 신속성, 정보성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신뢰성, 상호통제성을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의 정서적 몰입과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motional immersion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orkers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altruistic behavior : 조직시민행동의 이타적 행동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 조정화, 정수진, 홍예람 p. 5-39
한국 심리학의 새로운 방향성 = New directions in Korean psychology :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a critical psychological approach : 비판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적용 조아라, 유현경, 안현의 p. 41-70
다문화가정과 한국인가정 대학생 자녀 간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풍자권, 함승환 p. 71-121
놀이활동지도사의 노인놀이프로그램 실천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the practice of play activity instructors' play programs for the elderly 박영주, 김서현 p. 123-162
24개월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관계에서 마사지경험 조절 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massag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other with infant 김유식, 이솔잎 p. 163-186
기혼 여성의 개인・자녀・남편요인이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arried women's individuals·children·husband factors on housework time 오유라 p. 187-213
정부PR의 주요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in factors in government PR : focused on the social media of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and the Moon Jae In government :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SNS를 중심으로 김지혜 p. 215-250
노인복지현장 이용시설 기혼여성 사회복지사의 돌봄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직업정체성 인식 = Percep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as care service providers among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of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김서현, 박영주 p. 251-298
지방정부 청렴도와 정부성과 = Local government integrity and government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civil service in local governments : 기초자치단체의 민원 서비스 성과를 중심으로 이건영, 조정래 p. 299-334
대졸자 전공계열에 따른 노동시장 이행궤적 분석 = An analysis on labor market transition trajectories by college graduates majors : focusing on group-based trajectory model : 집단중심추세모형을 중심으로 정민철, 민현주 p. 335-356
고령층의 부정적 심리적 상태가 틱톡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elderly on TikTok addiction tendenc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impuls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 마음챙김, 충동성의 매개효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아정, 최윤정 p. 357-396
수용자 자녀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kills 이지선, 최려나, 허은영 p. 397-431
임상심리전문인력의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일과 삶에서의 적응 =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linical psychology professionals' internal factors and their work-life adaptation 이지우, 김다운, 송은빈, 양수진 p. 433-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