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연계된 고등학생 모의선거 참여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정치 참여 인식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진은 S대학교 연구소에서 주관한 모의선거에 참여한 여섯 개 고등학교의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원들 중에서 선발된 핵심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자료는 브라운과 클라크의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모의선거를 기획한 청소년들은 제도와 학교 환경, 학생 요인으로 인한 제약으로 모의선거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모의선거를 통해 정치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증가하였다. 특히 정치에 대한 관심이 낮았던 학생들은 정치 관련 대화를 시작하고, 부모의 투표 참여를 유도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현실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면서 정치에 대한 감정이 개선되었다. 넷째, 정치 관여도가 높은 학생들은 정책의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후보자들의 공약 분석을 통해 청소년 대상 공약의 부재를 지적하고, 교육 정책의 당사자로서 청소년의 참여가 보장될 수 있도록 모의선거 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젊은 세대의 의견을 대변할 수 있는 젊은 정치인과 그들을 양성할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처럼 청소년 모의선거는 이들의 정치 참여를 증진시키고,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의선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입법적 개선과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쟁점중심 교사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issues-centered teacher curriculum : a journey in search of a good city of the future : 미래의 좋은 도시를 찾아가는 여정 김지연, 노경주 p. 1-3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의한 2022 개정 초·중학교 역사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Analysis of 2022 revis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by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지모선, 최류미 p. 37-56

사회과 학습부진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ocial studies learning difficulties : focusing on operating a course of 'guidance for social studies learning difficulties' : ‘사회과학습부진지도’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옥일남 p. 57-101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문화 영역의 계열성 분석 = Analysis of the sequence in the society·culture area with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은지용, 송미리 p. 103-135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역량 중심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competency-based classes 송민섭 p. 137-182

무엇이 평가되지 않는가? = What is not evaluated? : exploring the concept of 'null evaluation' : 영 교육평가(null evaluation) 개념의 탐색 김재근 p. 183-208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선거 뉴스 프레임 분류 = Classification of election news frame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 proposal for election education approaches in social studies : 사회과 선거 교육 방안 제안 강병희, 신승협 p. 209-238
청소년 모의선거 경험의 이해 = Understanding youth civic learning through mock elections : the case of the 22nd national assembly election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김명정, 모경환, 손연지 p. 239-269

청소년의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 관련 사고 체계와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의 조절 효과 = The adolescent's thinking system related to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ivic media literacy : based on dual-process theory : 이중처리이론에 근거하여 송미리 p. 359-389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무역 시뮬레이션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s of trade simulation in primary social studies 홍승표 p. 271-300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에 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citizenship education discourse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정치, 법 영역을 중심으로 김경래 p. 301-332

청소년이 경험한 정치참여교육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perceptions and needs of youth regarding experience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김하정 p. 333-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