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는 내밀성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의 표현 양상과 심리적 표상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내밀성은 개인의 깊은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포함하는 심리적 영역으로, 예술작품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내밀성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예술가들이 내밀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고찰하였다. 하이데거는 내밀성을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간주하며, 존재가 스스로를 나타내는 방식을 강조한다. 바슐라르는 시적 상상력을 통해 사적이고 은밀한 공간에서의 내밀성을 탐구하며, 예술가들이 자신의 내면을 어떻게 예술로 형상화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이론을 동·서양 예술가들의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최북, 마크 로스코, 이우환 등의 예술가들이 작품을 통해 내밀성을 어떻게 드러냈는지 살펴보았다. 이들은 예술적 창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존재의 심리적 깊이를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내밀성이 예술가의 심리적 해방과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며, 현대 예술에서 심리적 깊이와 자아 탐구의 표현방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높이고, 예술 교육 및 치료 분야에서 내밀성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 역할을 재조명하여 현대 예술의 표현 방식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내밀성 개념을 통한 예술적 표현 분석 = Analysis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Heidegger and Bachelard's concept of intimacy : psychological exploration of existence and inner self : 존재와 내면의 심리적 탐구 유영미 p. 251-276
융복합 미디어아트 축제 공연콘텐츠 매체 특성 연구 = An analysis of media characteristics in convergent media art festival performance content 김광훈 p. 223-249
최치원(崔致遠)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의 서예 연구 = A study on Choi Chi-Won's calligraphic on the Jingamseonsabi 전재원 p. 193-222
문화축제콘텐츠의 문화원형적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al archetypal elements of cultural festival contents : focusing on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and the Nice Carnival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니스카니발을 중심으로 김은우 p. 167-192
루스 아사와(Ruth Asawa) 조각 작품에 나타난 감성 연구 = The study of the emotions in Ruth Asawa works 이순 p. 145-166
중국 성인 고혈압 환자의 서예활동이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lligraphy activities o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adult hypertension patients in China 손멍, 진우, 이재우 p. 119-143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 애플리케이션 사례 및 분석 연구 =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functional applications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in the elderly 전유혁 p. 89-118
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ree-shaped lotus patterns focusing on gold crowns, gilt-bronze crowns, roof tiles, and Buncheong porcelains : 금관 금동관·기와·도자기를 중심으로 조원교 p. 29-88
장자 미학의 무경계성(無境界性)을 통한 현대공간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through the boundarylessness in Zhuangzi's aesthetics 이준호 p. 1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