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조직사회화의 내용 중 정치적인 측면은 관련 연구가 증가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오랜시간 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인사조직 분야에서 정치라는 주제는 권력과 더불어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아쉬움이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정치적 요소는 조직의 일원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대인관계 및 소통체계와 관련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정치사회화와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대한 관점을 설계하였다. 나아가 조직에 소속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이 요구되는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한 가설의 실증 분석을 위해 시차 분리가 도입된 직장인 342명에 대한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조직사회화의 내용 중 정치적 측면은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과 직무성과에 대한 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치사회화와 정서적 몰입 및 직무성과 사이에서 상사신뢰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를 토대로 변수 간 유의미한 영향 관계의 고찰과 경영학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The political aspect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long, even if its related research has been increased. In addition, the topic of ‘politics’ in the field of personnel management, along with ‘power’, has unfortunately been associated with a somewhat negative image. However,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political aspects are high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communication system that are needed to become a member of an organization. Therefore, based on a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designed perspectives on political socialization, affective commitment of members, and job performances. And it also identified a mediation effect of supervisor trus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and growing up ther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suggested,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for 342 office workers to whom time lag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olitical aspect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rust in supervisor. And supervisor trust has positive effects on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s. In addition, supervisor trust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ation in political socializ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anagement implications, and challeng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