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국내에서는 귀농 등의 신규진입 증가와 청년 및 여성농업인의 독립경영체 등록 등으로 농업경영체가 증가하고 있으나, 소득적인 측면에서는 도시근로자와 대비하여 소득이 감소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지속해서 지원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오히려 농엉경영체의 요구사항만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의 경영자역량을 독립변수로 하여 하위변수에 창의적역량, 네트워킹역량, 자기통제역량, 기술적역량을 선정하고 종속변수에는 기업성과를 매개변수로 시장지향성을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역량, 네트워킹역량, 기술적역량은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네트워킹역량, 기술적역량이 시장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장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쳤고, 네트워킹역량과 기업성과 간, 기술적역량과 기업성과 간에 시장지향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그동안 농업경영체의 경영자는 외부 환경에 대해 다소 소홀한 태도를 보였고 시대적인 변화에 늦게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경영자의 다양한 역량 중에서도 네트워킹역량과 기술적역량이 시장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연구 영역을 확장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며, 독립변수의 자기통제역량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영자에게 있어 자기통제역량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하에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상반된 결과가 도출됨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농업경영체의 경영자는 창의적역량이나 자기통제역량을 신중하게 생각하고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경영자는 자기분석을 통해 즉각적으로 접목한다면 농업경영체 지속경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재무적 기업성과를 내는 것은 매출과 수익성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고 역시 시장지향적인 경영은 계속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머신러닝 기반 온라인 리뷰 감성 분석 모델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modelling of online review sentiment analysis 김민수, 김주희 p. 1-11
사회적 기업가적 지향성(SEO)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EO)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 thei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상영, 라준영 p. 13-27
중장년 예비 창업가의 우유부단성이 창업 실패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decisiveness in middle-aged and older prospective entrepreneurs on their fear of startup failure 최진숙, 정윤희 p. 29-44
중등 진로교육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 개발 = Development entrepreneur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econdary career education : applying design-based research : 설계기반연구를 적용하여 이지연 p. 45-59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 A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life career-interrupted start-up women 노원재, 한재희 p. 61-84
특례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CEO 특성 = Characteristics of CEO affecting R&D investment and corporate value of special listed companies : from a behavioral finance theory perspective : 행동재무학 이론 관점에서 김주원 p. 85-98
창업자 외부네트워킹행동이 스타트업 경쟁우위성과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startup entrepreneurs'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ompetitive advantage : sequential mediation of dynamic capabilities,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 Process Macro를 이용한 동적역량 및 제품개발성과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김현, 전정구 p. 99-109
교육 분야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 focusing on international cases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김일주 p. 111-124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enture capital market intervention policy = 벤처캐피탈 시장개입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한국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as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hoi, Young Keun, Jeon, Seong Min, Choi, Eun Ji p. 125-137
사회적 기업가의 경영역량이 공공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entrepreneurs' management capabilities on public market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characteristics : 경험특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태연, 하태관 p. 139-154
중년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과 시사점 =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middle-aged Koreans and implications : exploratory research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young Koreans : 청년층과 비교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허윤 p. 155-167
숏폼(Short-form)을 활용한 창업기업의 디지털마케팅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hort-form digit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startup companies :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 브랜드태도의 매개 효과 박일수, 민경세, 현병환 p. 169-183
실감미디어 창업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immersive media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 focus on professo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안혜진, 이일한, 서국선 p. 185-202
농업경영체의 경영자역량이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nreasonable market orientation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its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두영배, 허철무 p. 203-214
창업기업가의 자존감, 우울감, 심리적 회복력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esteem,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of start-up entrepreneurs on start-up performance 이정원 p. 215-229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 = Preparing for the second baby boom retirement : a study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support a fresh start for retirees : 퇴직자의 새로운 시작을 돕는 창업교육 연구 박소연, 최규선 p. 231-245
COVID-19 이후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결정요인 분석 =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PACs for SMEs after COVID-19 : a focus on prospect theory :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중심으로 윤현중 p. 247-260
국내 창업정책 분석 및 서울시 창업생태계 정책 도출 = Analysis of national startup policies and derivation of Seoul's entrepreneurial ecosystem policies : based on the evidence-informed policy (EIP) approach : Evidence-informed Policy(EIP) 방법을 기반으로 김가영, 이우진, 최병철 p. 261-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