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econciliation thought of Lothar Kreyssig (1898–1986). He was a German Christian judge in Weimar and Nazi times. He was the only judge who objected to the policy of euthanasia for the disabled, the so-called Operation T4 (Aktion T4) during Nazi times in Germany. This policy started on September 1, 1939 and stopped in 1941.

About 200,000 people were killed in this operation in Germany and Austria and 100,000 people in other European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he was again offered a judgeship, but declined. Later, he became an advocate of German reconciliation movement by establishing the Action for Peace Reconciliation Service and the Action for World Solidarity, a German development ai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His idea of reconciliation is very important and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is article first briefly examines his life, his thought on reconciliation and concrete action. Then it evaluates what influence he left behind and concludes what kind of lessons he gives to the Korean situation.

본 논문은 로타 크라이식(Lothar Kreyssig, 1898-1986)의 화해 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그는 바이마르와 나치 시대의 독일 판사였다. 그는 독일 나치 시대에 소위 작전 T4(Aktion T4)라고 불리는 장애인 안락사 정책에 반대한 유일한 판사였다. 이 안락사 정책은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되어 1941년에 중단되었는데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약 20만 명이 이 작전으로 사망했으며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10만 명의 장애인이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그는 다시 판사직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나중에 그는 화해의 사도가 되어 독일 개발 원조 비정부 기구인 화해를 위한 평화봉사단(ASF: Aktion Sühnezeichen Friedensdienste)를 설립했다. 그의 화해 사상은 매우 중요하고 한반도 정세에 깊은 함의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의 생애를 간략히 살펴본 후 화해에 대한 사상과 그 구체적인 열매인 화해를 위한 평화봉사단을 고찰하고 그의 사상이 한반도 상황에 대해 주는 교훈을 평가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research on the reconciliation thought of Lothar Kreyssig = 로타 크라이식의 화해 사상에 관한 고찰 Yong Joon (John) Choi p. 5-26
죽음과 애도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접근 = The consideration and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regarding death and mourning 김수지 p. 27-58
1인칭 기독교 시뮬레이션 게임의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f storytelling in first-person Christian simulation games : a case study of <I am Jesus Christ> : <I am Jesus Christ>를 중심으로 김태룡 p. 59-82
영화를 활용한 기독교세계관 수업 참여 경험 =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Christian worldview class using film : focusing on students from B Christian university : B 기독교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고기숙 p. 83-113
치매이방인과 메시아적 환대 = Demented-strangers and messianic hospitality 권유리야 p. 115-134
중년의 웰다잉(Well-dying) 인식 = Well-dying awareness of the middle-aged : Colaizzi’s phenomenological study :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최은정, 정유진 p. 135-159
동성애에 관한 선교신학적 연구 = A missiological study on homosexuality 옥필훈 p. 161-184
포스트휴머니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study on critical posthumanism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Biesta and Maritain : 비에스타(Biesta)와 마리땡(Marita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홍지희 p. 185-205
기독교 세계관 개념을 재정의하기 = Redefining a Christian worldview : 세계관을 몸으로 살아내기 위하여 김기현 p. 207-228
Girard’s mimetic theory : towards a theological framework for educational anthropology Todd John Wallenius p. 229-242
범죄자가 추구하는 ‘거짓 행복’의 실체와 ‘참된 행복’의 탐색 = The reality of ‘false happiness’ pursued by criminals and the search for ‘true happiness’ 김재민 p. 24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