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청년세대는 그 시대를 비추는 창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사회에서 청년의 문제는 저출산·고령화와 연관되어 중요하게 거론되는 사회적 문제 중 하나이다. 청년세대의 통증은 일본의 가족문제, 나아가 사회구조적인 문제와도 연관된 사안이다. 현재 일본 사회의 저변에 깔려있는 정서는 ‘불안’이다. 장기간 경제침체를 겪으면서 일본사회의 불안정성은 커졌다. 청년들은 사회 양극화의 한가운데에서 과도한 경쟁과 취업 실패, 비정규직과 임시직,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이어지면서 고립화가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청년들의 취직, 결혼, 출산, 주거환경 등 삶의 통과의례를 겪으면서 느끼는 통증과 선택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가키야 미우 작품은 통과의례와 관련하여 가족을 중심으로 한 세대간 인식의 차이와 그들의 고민과 선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의 시대적 통증과 선택의 문제를 청년세대에만 국한하지 않고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 일본사회의 변화와 연계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青年世代はその時代を映す窓ともいえる。日本社会において、青年の問題は、低出産・高齢化と関連づけて重要視される社会問題のひとつだ。青年世代の痛みは、日本の家族問題、さらには社会構造的な問題とも関連付けられる事案である。 現在、日本社会の底辺に敷かれている情緒は「不安」である。長期間にわたる経済的沈滞を経験しながら、日本社会の不安定性は大きくなった。青年層は、社会両極化のまっただなか、過度な競争と就職の失敗、非正規雇用と臨時雇用、未来に対する不安感により孤立化が加重している。個人それぞれが多様な選択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時代となり、低出産による人口の減少は避けられないのが昨今の現実だ。未婚化・非婚化、低出産、高齢化、独身化、貧困、財政問題など、未来の社会について話すときに取り上げられる問題には必ず否定的な認識が同伴する。特に、青年世代が経験した不安定な労働環境と不安定な暮らしの危機意識が社会的に問題視されるようになると、このような問題を扱う作品群が登場するようになった。こうした作品は、深刻化する未婚化の現実、非正規雇用、低賃金の労働環境を表現し、以前の世代とは違う価値観を持つ青年世代の認識を争点化している。 本研究は、日本の青年たちが、就職、結婚、出産、住居環境等の暮らしの通過儀礼を経験しながら感じた痛みと選択の意味について探ろうと思う。垣谷美雨の作品は通過儀礼に関連し、家族を中心とした世代間の認識の差と彼らの悩みと選択を効果的に表している。こうした点から、本研究では、青年世代の時代的痛みと選択の問題を、青年世代にだけ極限せず、世代間における価値観の差や日本社会の変化に関連づけて論議を進めていこうと思う。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 대학 학생들의 비교과 교육을 통한 일본어 향상 및 취업률 제고 길미현 p. 3-21
Global citizenship and multilingual education in the glocal era Park, Kang-Hun p. 23-46
전공연계 서비스러닝을 통한 지역 상생 : 일문과 교직 이수 학생을 중심으로 한 교육 실천 사례 안지영 p. 47-65
일본어 번역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일본어 번역지도’ 교과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염미란 p. 67-87
NLTを活用した「少し」と「ちょっと」に関する一考察 : 意味機能の違いを中心に 金惠娟 p. 89-107
日韓のフィラーの開始音に関する研究 : 母語場面と接触場面に着目して 朴成泰 p. 109-125
일본어 사죄표현에서 나타나는 청자 배려 발화 : 정보 전달의 유무를 중심으로 손동희 p. 127-146
二字漢語形容動詞の四字漢語の形成 : 語構成位置の観点から 鄭熙轍 p. 147-167
일본어 듣기 교재의 출판 현황과 교수법 분석 및 개선 방향 주인원 p. 169-185
日本語教育実習의 教壇実習 기관에 대하여 : 한국의 D대학교 예를 중심으로 한원형 p. 187-207
일본 청년세대의 시대적 통증과 선택 : 가키야 미우(垣谷美雨)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현선 p. 209-231
일본 시코쿠 헨로 88개소 영장의 개창자들 송영숙 p. 233-254
아스카데라(飛鳥寺) 창건을 위해 파견된 백제 기술자 칭호에 대한 연구 이다운 p. 255-277
일본 대중문화에 투영된 결혼 담론의 해체와 고령화 가족 : 사이몬 후미(紫門ふみ)와 마스다 미리(益田ミリ)의 만화를 중심으로 이윤주 p. 279-303
‘南朝鮮鉄道’ 연선(沿線)의 전남 동부 지역사회와 일본인 조래철 p. 305-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