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한라, 김진숙 p. 1-30
중학생의 창의적 학교환경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수행능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adapt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이지유, 조규판 p. 31-56
대학생의 이성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e :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김은지, 하정희 p. 57-86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daptive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late-stage youth : 후기 청소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박경례, 조정미, 박재연 p. 87-115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tress of adolescents on subjective well-being :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social isolat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 사회적 고립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완경 p. 117-143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ce avoidance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s 이예진, 진미경 p. 145-171
아동학대 가해 어머니들의 학대 중단과 가족 회복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essation of abuse and family recovery among abusive mothers 서효형 p. 173-203
청년구직자의 진로·취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s for reducing job-seeking stress among young job seekers 정지은, 김진숙 p. 205-234
대학생의 인정욕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Association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online social support :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및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신소빈, 이승연 p. 235-257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부모와 중학생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y between parents and middle school children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최유석, 허무녕 p. 259-284
코로나19 시기 자유전공학부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f the major selection process of liberal studies freshmen during COVID-19 김영미, 최바올 p. 285-314
랜덤 포레스트 회귀를 활용한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예측요인 탐색 = Exploration of predictive factors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issues using random forest regression 김미희 p. 315-339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수진, 장형심 p. 341-365
청년의 문제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h's problem perception on government trus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values : 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한별, 문성호 p. 367-386
성인기에 지각된 아동기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in adul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trust in other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자기 존중감, 타인신뢰, 대인관계 유능성의 순차적 매개 효과 윤수영, 한기백 p. 387-412
휴대폰 사용유형에 따른 청소년 사이버 비행의 발달 궤적 잠재계층 비교 =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hone usage : with growth mixture models : 성장혼합모형(GMM)을 활용하여 남수미, 하은혜 p. 413-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