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30대인 북한이탈주민 청년을 대상으로 경제적 적응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의 경제적 적응 과정과 이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경제적 적응에 영향을 주는가?” 라는 문제를 제시했다.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 청년 14명이었고, 이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의 경제적 적응에 대한 한계’라는 중심현상으로부터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적응의 한계를 극복함’이었다. 경제적 적응 과정은 ‘개인 선택 단계’, ‘개인 및 사회적 자원 활용 단계’, ‘개인 및 사회적 가치의 통합 단계’로 시간의 흐름과 상호작용에 따른 3단계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이 ‘장마당 세대’로서 가지고 있는 기존 북한이탈주민과의 차이를 밝히고, 이들의 경제 적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이들은 자신의 내적 역량을 잘 강화시키고, 그것을 사회 공헌적 가치로 발현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의 경제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민주주의 기술 플랫폼의 진화와 시민참여 = A study on evolution of ICT for democracy platforms and civic participation : 대한민국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중심으로 송경재 p. 5-37
인권존중경험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spect for human rights on adolescents well-being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 학교생활만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봉숙, 정송화 p. 39-63
북한이탈주민 청년의 경제적 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A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of the economic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youth 손인배, 전우택, 문의인, 신보경 p. 65-93
‘정동적 노동’의 이윤 공유에 대한 한국사회의 제약 요인 = The constraints of Korean society on profit sharing of 'affective labor' 민세명 p. 95-119
인도네시아 선거 제도 정착과 요인 분석 = The consolidation and factors of Indonesia’s electoral system : focused on the electoral threshold and concurrent elections : 봉쇄조항과 동시선거를 중심으로 박준영, 조규린, 최태수 p. 121-147
대한민국형 사회보장제도 재구축을 위한 담론 = A study on discourse for reconstruct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전호성 p. 149-172
한국과 일본의 가족계획 비교 = Comparison of the family planning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abortion and policy responses : 인공임신중절문제와 정책 대응을 중심으로 오영란 p. 173-204
지역특화형 비자 정책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foreign students regarding the regional specialized visa policy :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 김양희 p. 205-232
광역비자로서의 캐나다 주별이민자추천프로그램(PNP)에 관한 다층거버넌스 분석 = An analysis of multi-level governance in the provincial nominee program(PNP) as a broad visa system in Canada : focusing on the process of political and social consensus : 정치·사회적 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정, 김대중 p. 233-262
한국전쟁 전후 마약문제의 실태와 국가적 대응 = Drug issues and national responses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조석연 p. 263-282
국방동원 환경에 부합하는 한국군의 예비전력 효율적 운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 = An analysis of the efficient operation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reserve power of the ROK Armed Forces according by the national defense mobilization environment 윤지원 p. 283-308
성경 속 전쟁 분석이 한국군 비대칭 전략에 주는 함의 = The implication of analysis of the Bible War In the asymmetric strategy of the Korean Army : focusing on the forms of asymmetric strategy : 형태별 비대칭 전략을 중심으로 김미정, 김광현 p. 309-340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북핵 및 미사일 위협에 관한 담론 분석 = Discourse analysis on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using big data analysis 김동훈, 김법헌 p. 341-362
해방 이후 국내 중국어 교육의 도입과 발전 과정에 관한 小考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education in Korea after 1945 liberation 엄지 p. 363-389
디지털 덴티스트리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digital dentistry research trends 김설희 p. 391-408
대학생의 생활패턴과 구강건강 관련성 = Impact of lifestyle patterns on oral health in university students 김설희, 천세아, 최유정 p. 409-425
초등학교 저학년의 체스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with chess education 정진우, 어은경 p. 427-454
로봇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obot production program on children's social improvement 정진우, 어은경 p. 455-480
국내 유학생들의 한국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진학 및 취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Korean culture adaptation stress on academic and employment motiv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장진태 p. 481-499
평가 방법에 따른 중국인 유학생의 강의 평가 태도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attitud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course evaluation methods 임이진, 구민지 p. 501-525
네팔 학부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영향 =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mong Nepali undergraduates 윤영집, 공하림 p. 527-561
대학생들의 계획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박경자, 김명찬 p. 563-595
청소년기의 진로활동이 진로성숙도와 대학 소속감을 매개로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career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during adolescence on sense of belonging and intention to drop out of university 정주영 p. 597-624
공연예술 관람 교육이 청소년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performance arts viewing education 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maturity in adolescence 최승희, 김선영 p. 625-650
청소년의 부모지원,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 정신건강 간의 구조관계 분석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teacher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권성연, 신소영 p. 651-678
MZ세대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the MZ generation on job satisfaction 최석규, 최정석 p. 679-700
‘장두노미(藏頭露尾)’ 관점에서 본 상호주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rsubjectivity from a “hidden but revealed” perspective 황지영, 김태완 p. 701-724
아동학대 가해 아버지의 학대 경험과 중단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abuse experiences and cessation of abusive fathers 서효형, 최은영 p. 725-759
중국어 기동상 표지 다시 찾기 = Rediscovering the ‘ingressive aspect’ markers in Chinese 유춘운 p. 761-782
한국어-인도네시아어 번역에서 문화소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ultural elements in Korean-Indonesian translation : focusing on the novel 'Seven Years of Darkness' : 소설 ‘7년의 밤’을 중심으로 조민성 p. 783-813
노년기 삶의 의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미래시간조망과 희망 = Future-time perspective and hope as protective factor for the meaning of life in old age : focusing on Jonas Jonasson's 『The Hundred-Year-Old Man Who Climbed Out the Window and Disappeared』 : 요나스 요나슨의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을 중심으로 길태영, 박하람 p. 815-835
노인 자살생각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이성철, 문진영 p. 837-865
소득수준별 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 Types of change and influencing factors i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by income level 도유희, 김현지 p. 867-901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recovery of people in mental care facilities : the moder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김미림 p. 903-930
PR종사자의 관계 능력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skills of PR professionals 김수미 p. 931-950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충주 고미술 거리 활성화 방안 연구 =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Chungju Antique Art Street : a vanishing local cultural resource 노영희, 이자영 p. 951-983
목회자 아내의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pastor's wife's self-discrepancy and entrapment on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 영적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명선, 이자영 p. 985-1013
준정부조직 콴고(QUANGO) 공공외교의 네트워크 추동요인 = Driving factors in networks of Quasi-Autonomou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QUANGO) public diplomacy : case study of Institut für Auslandsbeziehungen : 독일 대외문화교류기구 사례분석 김화정 p. 1015-1042
국제개발협력 사업 실무자를 위한 성주류화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ender mainstreaming guideline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actitioners 김영주, 신유리, 이은아 p. 1043-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