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인 초급 학습자의 관형 명사구 사용 양상을 어순 중심으로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형 명사구를 ‘명사 결합 구성, 관형사 결합 구성, 관형절 결합 구성’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1:1 인터뷰 방식을 통해 통제된 질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 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세 가지 유형 중 명사 결합 구성에서 어순 오류가 가장 두드러졌다. 관형사 결합 구성에서는 성상 관형사 결합 구성에서만 어순 오류가 나타났다. 관형절 결합 구성의 경우 문장 구조에 따라 오류 양상도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어순 오류보다는 분열문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이 원인으로 추측되는 오류가 더 많았다. 이를 통해, 관형 명사구 사용 시 각 구성에 따라 어순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동료 피드백 기준 연구 = Study on criteria design for peer feed-back in Korean writing classes 권기현 p. 1-27
한국어 학습자 오류에 대한 거대언어모델과 모어 화자의 교정 양상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error correction patterns between large language models and native speaker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남신혜 p. 29-52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ㆍ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Learning Joseoneo" (Russian and Chinese Editions) and "Joseoneo" (For International Students) : focusing on changes according to the target learners : 학습 대상에 따른 교재의 변화를 중심으로 스가이 요시노리, 허예인, 조현용 p. 53-94
해외 한국어 교사의 교사효능감 변화 요인 연구 =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efficacy of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안정민 p. 95-124
베트남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motivations and demotivational patterns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이선빈, 김지현 p. 125-160
태국인 초급 학습자의 관형 명사구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genitive noun phrases by Thai beginner learners of Korean : focusing on word order : 어순을 중심으로 이은희 p. 161-195
TOPIK 듣기 텍스트의 난이도 연구 = A study on the difficulty of TOPIK listening texts : a comparison between TOPIK Ⅰ and Ⅱ from 2014 to 2022 : 2014~2022년 출제된 TOPIK Ⅰ과 Ⅱ 비교를 중심으로 장채린, 전문기 p. 197-223
웹툰 언어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webtoon language : focus on idiomatic expression : 관용적 표현을 중심으로 함계임 p. 22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