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배터리 전주기에 대한 사회·환경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제정된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배터리 규정을 살펴보았다. 이 규정은 EU 배터리 기업뿐만아니라 배터리를 EU에 수출하는 한국 기업에도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EU 배터리 규정의 입법배경, 구성, 목적과 주요 용어 정의, 적용 대상, 그리고 전기차 배터리와 폐배터리에 대한 사업자의주요 의무(물질 사용에 대한 제한, 탄소발자국 신고, 라벨링 및 표시, 배터리 실사, 폐배터리 관리, 디지털 배터리 여권 등)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EU 배터리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가 발표한 「사용후 배터리 산업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방안」을 살펴보았다. EU 배터리규정 연구를 통해 EU 시장에 전기차 배터리를 수출하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EU 배터리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전략을 준비하고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배터리 법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uropean Union (EU) Battery Regulation enacted to strengthen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enhance sustainability and safety throughout the value chain of the battery life cycle. This Regulation applies not only to EU battery companies but also to South Korean battery companies exporting batteries to the EU.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legislative background, structure, purpose, and definitions of key terms in the EU Battery Regulation. It also explored the key obligations of economic operators, focusing on EV and waste batteries. Important obligations include restrictions on the use of materials, carbon footprints, labeling and marking, battery due diligence, waste battery management, and digital battery passports. Finally, it address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ecen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employing used batteries in response to the EU Battery Regul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광산배수 처리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 소석회 투입량 예측 연구 =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 of lime dosage for mine drainage treatment 박성숙, 이가현, 설순지, 김덕민, 김선준, 고주인 p. 333-346
다목적 최적화 기반 CO2 수송-주입-저장 통합 시스템의 기본 설계 = Design of integrated CO2 transportation-injection-storage system based o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최수인, 김태우, 최병인, 민배현 p. 347-362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현물 시장 참여 태양광 발전의 풋옵션 가치 추정 = Estimation of the put option value for solar power plant operators participating in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spot market 조상민 p. 363-372
광물에너지자원 및 지질정보 분야 기술이전, 기술자문, 창업·협력을 통한 KIGAM 국내 산업 기여에 대한 정량 분석 = Quantitative analysis of contributions of KIGAM to domestic industry through technology transfer, technical consulting, startups, and cooperation in the R&D fields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and geological information 안은영 p. 373-387
EU 배터리 규정과 한국의 대응 현황 분석 = EU battery regul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이경아, 차종문 p. 388-398
노르웨이 스메아하이아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프로젝트 현황 및 적합성 분석 = Current status and suitability analysis of smeaheia carbon capture and storage project in Norway 조유정, 박세은, 오주원 p. 399-409
광해·광업 분야 국제표준(ISO)과 한국산업표준(KS) 제정 현황 비교 및 제언 = Comparis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Korean national standards in the area of mining 김덕민, 김혜림, 고주인 p. 410-418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을 위한 열-수리-역학적-화학적 복합거동 연구 고찰 = Review of the research on thermo-hydro-mechanical-chemical coupling behavior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권상기, 이지원, 김민주, 안우성 p. 419-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