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부산 근현대 현대무용사적 관점에서 해방기 부산지역 현대무용의 형성을 밝히고 그 역사적 의미와 미적가치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정기간행물과 신문의 기사 내용, 교재, 선행연구 등의 문헌자료를 분석하여 해방기 무용가들의 작품공연, 교육활동 등을 고찰하였다. 미적 가치의 논의를 위해서는 관련기사, 광고자료를 분석 고찰하였다. 부산지역 현대무용은 근대와 계몽기로부터 서양 문명과 신무용의 영향으로 새로운 무용의 창작과 무대활동을 구축해왔다. 해방기에 부산지역 현대무용은 민족주의 정신에 입각한 무용창작, 자유로운 개인 순수작품활동, 인간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실제 등을 실천하였다. 무용교육은 무용연구소와 학교, 무용강습회에서 실천되었다. 해방기 부산에서 개인무용회를 개최하고 순수창작활동을 추구한 사람은 박용호, 박이랑 등의 현대무용가들이었으며, 이들은 기존의 부산무용과는 차별화된 현대적 양상을 보였다. 해방기는 부산지역의 현대무용이 형성되는 태동기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크다. 또한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어 지속적으로 활동한 현대무용가들과 더불어 민족주의 정신의 건설에 앞장서고 민족무용 문화와 새로운 무용의 미학을 제시한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민족주의 정신을 내포한 작품에서 숭고의 미적가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해방기 부산지역 현대무용은 6·25전쟁 이후 창작과 교육을 주도하는 무용의 역할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과 함께하는 무용 예술작업에서 현장 작업자들이 마주할 수 있는 윤리적 상황에 관한 탐구 = An exploration of ethical situations that field workers may face in dance art wor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dancers' body alienation : 무용가의 몸 소외 현상을 중심으로 박유나 p. 3-26
한성준의 춤과 서울 지역 춤의 전개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n Sung-jun's dance and Seoul region dance : from early 1900s to early 1940s : 190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초까지 김경은 p. 29-65
춤사위 용어를 활용한 한국춤 훈련 메소드 가능성 모색 = Possibility of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using terminology : Bae Junghye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활용법 김향 p. 67-84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 및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engagement in Chinese university dance majors 류빈웨, 손관중 p. 85-106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의 역사를 통한 문화적 가치 고찰 =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 of the Jeonju Daesaseupnori national competition through its history 서정민 p. 107-124
K-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전주대사습놀이의 발전방안 연구 = Development plan study of Jeonju Daesaseupnori as a K-content platform : focusing on Pansori : 판소리를 중심으로 유영수 p. 125-140
해방기 부산지역 현대무용의 형성 = The formulation of modern dance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장정윤 p. 14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