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의 양방향 데이트폭력 경험의 본질을 탐구해 보기 위한 목적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성인 초기 여성 13명과 인터뷰하였고, 그 자료를 질적 연구분석 방법 가운데 현상학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소주제와 9개의 대주제를 도출해 내었다. 결과로 도출된 대주제에는 ‘상대 연인의 태도 변화가 감지됨’, ‘데이트폭력으로 인한 압박감과 불쾌함’, ‘데이트폭력으로 인해 자기개념이 손상됨’, ‘데이트폭력으로 인한 상처와 충격’, ‘폭력 피해를 묵인하며 내적으로 갈등함’, ‘주도권 쟁탈을 위해 선제공격을 시도함’, ‘집착하고 통제하며 불안을 견뎌냄’, ‘공격적인 예민함은 정당화하며 허용함’, ‘대응하기 위한 가해 동기의 정당화’ 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한 개인의 경험 속에서 데이트폭력의 가해와 피해가 이뤄지는 동기 및 심리적 영향,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계적 요소들을 드러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는 가운데 논의하였고, 향후 임상적 개입 및 프로그램 구상에 필요한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성인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가 신체화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omatization in adult women :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moderated by body attribution : 신체귀인으로 조절된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박한빛, 이창현 p. 237-258
초기성인기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ender microaggress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early adulthood :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박사로, 송미경 p. 259-273
성인 초기여성의 양방향 데이트폭력 경험 =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adult female’s bidirectional dating violence experience 박경은 p. 275-299
한국판 콜 포비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ll phobia questionnair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을 중심으로 임유빈, 강수민, 유하연, 이채희, 김희선, 구훈정 p. 301-324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소재와 성차별경험 지각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coping strategy 박수민, 안현의 p. 325-346
행정기관의 신뢰가 생활·강력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rust in administrative agencies on fear of everyday and violent crime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through psychological outlook on everyday and violent crimes : 생활·강력범죄의 심리적 전망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규은 p. 347-363
병리적 자기애가 정신화실패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mentalization failure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mpathy moderated by emotional perception clarity : 정서 인식 명확성으로 조절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 박영주, 오현숙 p. 365-387
기혼자의 내현적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person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moderated by mari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 부부의사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홍천덕, 유영달 p. 389-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