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전공 여대생의 섭식장애와 월경불순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수면의 질 및 기분상태의 차이검증 =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mong musculoskeletal disorders, sleep quality, and mood states according to eating disorders and menstrual irregular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e
|
석지원, 이호성
|
p. 1-18
|
|
|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strength in middle-aged obese women
|
최봉길
|
p. 19-26
|
|
|
|
저항 스프린트 트레이닝이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 및 파워 발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istance sprint training on energy system contribution, anaerobic enzymes and anaerobic power
|
이지민, 김은숙, 김도현, 윤성진
|
p. 27-40
|
|
|
|
ICT 기반 스포츠 VR 중·장기 로드맵 수립 = ICT based mid to long term roadmap development for sports VR
|
김태완, 길세기, 이상철, 조은형, 강현우
|
p. 41-52
|
|
|
|
알트만 스코어를 이용한 국내 프로야구단의 지속가능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through the analysis of Altman score
|
김진세, 김진국
|
p. 53-70
|
|
|
|
한국 프로야구 리그의 스피드업 규정 효과 검증 =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speed-up regulations in the Korea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
오승욱, 한진욱
|
p. 71-80
|
|
|
|
스포츠용품 얼리 어답터의 성향이 신제품에 대한 기대감과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pters' tendencies on new product expectations, word-of-mouth and purchase intentions of sporting goods
|
채수원, 김진국
|
p. 81-96
|
|
|
|
스포츠 브랜드의 ESG 경영활동이 지각된 기업이미지와 가격공정성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ports brand's ESG management activities on perceived corporate image, price fairness and purchase intention
|
주형철, 이용건
|
p. 97-111
|
|
|
|
체육 행정 조직의 홍보 역량을 높이기 위한 공공 홍보 전략 방안 =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enhance the promotional capacity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
정윤덕
|
p. 113-132
|
|
|
|
잉글랜드, 미국, 호주 축구심판 양성 시스템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referee development system in England,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 policy implications for referee development in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 대한축구협회 심판 양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
|
김소현, 홍은아
|
p. 133-151
|
|
|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스쿠버다이버의 해외 다이빙투어 지속의도 예측 = Prediction of continuous intention to overseas diving tour in scuba divers by us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심재오, 소영호
|
p. 153-169
|
|
|
|
스포츠 산업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활용에 대한 방향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Derivation of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utilization of metaverse in the sports industry
|
배정섭
|
p. 171-182
|
|
|
|
대학운동선수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업 관련 요인, 선수생활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ademic related factors, and athlet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athletes
|
서효민, 차재혁, 이정민
|
p. 183-197
|
|
|
|
고객무례행동이 사설스포츠센터 종사원의 직무몰입, 감정소진,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n private sport centers employees of job commitment, emotional exhaustion,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customer incivility behaviors
|
정정희, 김범
|
p. 199-211
|
|
|
|
아웃도어 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지속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un factors of continuance intention of outdoor enthusiasts
|
박상현
|
p. 213-220
|
|
|
|
OTT 플랫폼 스포츠 콘텐츠 특성이 고객만족 및 추가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OTT platform sports content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additional pay : focusing on Coupang Play : 쿠팡플레이를 중심으로
|
전중건, 유호석, 한진욱
|
p. 221-234
|
|
|
|
유튜브를 통한 올림픽 관련 콘텐츠 시청 경험이 관람 스포츠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watching olympic-related content on YouTube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ectator sports
|
사혜지, 김형훈
|
p. 235-248
|
|
|
|
가노지고로의 체조 비판이 무도 교육에 미친 영향 = Effects of Kanojigoro's criticism of gymnastics on martial arts education
|
유성연
|
p. 249-258
|
|
|
|
고등학교 축구지도자의 코칭 방식이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aches' coaching styles on teamwork among adolescent elite soccer players in high school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 심리적 욕구 만족 매개효과
|
송용관, 황재훈
|
p. 259-273
|
|
|
|
가상현실 자전거 이용자의 프레즌스 경험이 감정반응, 스포츠 태도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icycle users' presence experience on emotional response, sports attitude and exercise adherence
|
이현수, 김욱기
|
p. 275-289
|
|
|
|
운동선수 브랜드 이미지 척도 타당성 검증 연구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athlete brand image scale
|
비지아첸, 김대환
|
p. 291-308
|
|
|
|
통제적 환경이 청소년 축구선수의 통제 동기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 controlling environment on controlled motivation and burnout in youth soccer players : the role of coach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 지도자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의 역할
|
문한진, 주우영
|
p. 309-322
|
|
|
|
스포츠지도자의 라이프스킬 코칭 전략 탐색 = Exploring the life skills coaching strategy in sports
|
임태희, 배준수, 양윤경, 진형호, 우승환
|
p. 323-337
|
|
|
|
정상발 및 평발 집단의 발목관절 토크 및 만성발목불안정증(CAI)의 특성 차이 =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ankle joint torques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between normal foot and flat foot group
|
안석경, 조상근, 김승재
|
p. 339-351
|
|
|
|
현상학적 해석학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의 지식 = The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hermeneutic perspective
|
한준상
|
p. 353-372
|
|
|
|
한국, 미국, 일본 도핑검사관 운영체계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 =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doping control offic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s anti-doping organizations
|
홍은아, 최희동, 김소현, 변지희, 이현주
|
p. 373-387
|
|
|
|
비인기 스포츠 속성이 관중의 심리적 몰입과 긍정적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the impact of emerging sport attributes on floorball spectators : 플로어볼 관중을 중심으로
|
유호열, 최준규, 김세웅, 이성훈
|
p. 389-405
|
|
|
|
초등교사가 인식한 A교육감배 학생체육대회의 명암과 개선 방안 =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 on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regional sports competition
|
천종문, 홍덕기
|
p. 407-421
|
|
|
|
척수손상 장애인 신체활동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도 검증 = Validation of a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tool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
이나영, 박세희, 이민구
|
p. 423-432
|
|
|
|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시간적 구조 해석 = Interpreting the temporal structure of short track speed skating athletes : focusing on Heidegger's concept of temporality : 하이데거의 시간성 개념을 중심으로
|
장현우, 이경숙
|
p. 433-445
|
|
|
|
퍼스널 트레이닝을 지속하는 중년의 그릿과 경험 탐색 = Exploring the grit and experiences of middle-aged adults in personal training
|
남궁진, 정새봄, 이준성
|
p. 447-462
|
|
|
|
부상 예방을 위한 신경근 훈련이 청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euromuscular training on kinematic factors in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 focusing on reducing the risk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전방십자인대 손상 위험 감소를 중심으로
|
김태성, 강태규, 전형규, 이세용
|
p. 463-475
|
|
|
|
웰니스 시니어의 효율적인 실천 강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use of digital literacy to strengthen the efficient movement of wellness seniors
|
조규청
|
p. 477-492
|
|
|
|
달리기 속도에 따른 관성 측정 장비(IMU)의 신뢰도 분석 = Reliability of inertial measurement Unit(IMU) as a function of running speed
|
강지혁, 강재원, 윤석훈
|
p. 493-502
|
|
|
|
운동선수의 최상수행을 위한 스포츠 현장에서의 심리컨디셔닝 개념 및 인식 탐색 = Exploration of concept and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ditioning in sports settings for athletes' peak performance
|
권성호, 이승주, 이도흥, 김태우, 원지은
|
p. 503-522
|
|
|
|
노인의 운동실천 문화조성을 위한 ‘운동품앗이’(헬스케어 앱) 요인 탐색을 통한 모델 구축 = Exploring factors for building an 'exercise Pumachi' model to foster a culture of exercise among the elderly : focusing on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aspects(information, education, communication) : 심리⋅사회⋅물리적 터치(정보, 교육, 소통)를 중심으로
|
변현, 황수영, 박성종
|
p. 523-535
|
|
|
|
통합체육수업 우수성과자들의 경력에 따른 경험 분석 =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high performers in inclusi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ross their life cycles
|
윤진주, 박종률
|
p. 537-550
|
|
|
|
발달장애인의 생활기술 함양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S.M.A.R.T.)이 성인기 초기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The impac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S.M.A.R.T.) for enhancing life skills on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규진, 임상훈, 이용호
|
p. 551-562
|
|
|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체육수업실연 수행 과정에서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행동 분석 = Analysis of the teaching behavior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irtual reality-based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imulation
|
윤현수
|
p. 563-57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