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산림청은 치유의 숲 등 산림을 활용하여 대상별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하고 치유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국가자격제도로 ‘산림치유지도사’를 도입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 관련 법령과 정책은 자격 취득과정의 정립, 양성기관의 확대, 산림치유지도사 배출 등 단계별 과정을 거쳐 초기 제도적 안정화를 이루었다. 변화하는 환경과 증가하는 산림치유 사회적 수요에 발맞추어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조성을 위해 양성과정의 효과적인 운영과 자격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2022년까지 배출된 1‧2급 산림치유지도사를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 이후의 활동 현황과 산림치유지도사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림치유 설문 항목은 응답자 현황과 보유 자격증 현황, 경제활동 여부, 전문가 자격 기준, 양성과정 개선방향 등으로 구성되었다.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 보유자는 여성과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양성과정에 관련한 공통적인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양성교재’와 ‘실습시간’이 차지했으며,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필요한 업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과목의 교육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 자격제도의 경쟁력을 높이고, 양성교육과정을 강화하여 교육생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나아가 산림 관련 일자리 연계 등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ffects of processed red clay and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actobacillus fermentum on cucumber (Cucumis sativus L.) growth and soil properties Sora Lee, Hyeonsoo Jang, Songhee Lee, Wonwoo Cho, Hyung Won Lee, Hoduck Kang, Hyunmo Choi p. 1-10
경주시 왕신천 및 칠평천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of Wangsincheon Stream and Chilpyeongcheon Stream in Gyeongju City 유주한 p. 11-29
군위군 지역에 재배가 적합한 국내육성 사과품종의 선발 = Selection of domestic apple cultivar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Gunwi-Gun region 권중근, 유진기, 나이묘윈, 김경욱, 정희영, 강인규 p. 31-39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펠렛 퇴비가 토양 화학성 및 배추(Brassica rapa L.) 수량에 미치는 영향 = Contribution of feed waste-mixed livestock manure pellet compost to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yield 류단비, 정영재, 심재홍, 김성헌, 전상호, 이동원, 윤진주 p. 41-47
효율적인 치유농장 운영의 성공 요인 분석 = Analysis of success factors in efficient agro-healing farm management : focused on Gyeongsangnam-do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김윤숙, 장은진, 허재영, 이상은, 조용남, 안철근 p. 49-58
가리왕산 천연활엽수림 주요 수종의 탄소저장량 비교 = Comparison of carbon stocks in dominant species of the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이수호, 박영대 p. 59-69
Quantitative analysis of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n methanolic extract of Ainsliaea acerifolia leaves using HPLC-DAD Hyeon Cheol Kang, Ju Yeong Kang, Hye Ryeong Noh, Bong Gyu Kim p. 71-79
산림치유지도사 양성현황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ining statu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김수진, 박수진, 하시연, 이연희, 이미진, 최예지, 김건우 p. 81-96
서어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조림지의 낙엽·낙지에 의한 탄소 유입량 = Carbon inputs of litterfall in adjacent Carpinus laxiflora, Quercus aliena, Q. serrata, and Pinus strobus stands 신창환, 이근섭, 최충호, 최병길 p. 97-102
수량화이론을 통한 신죽의 밀도 및 재적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ensity and growth of new bamboo through quantification theory 정재엽, 주정운, 배은지, 노혜정, 박천희, 이선정, 김우용, 김태인, 손영모 p. 103-109
(A) new simple method for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H2O2 Hyun Jin Lim, Ji Yeon Kang, Jong Hee Kwon p. 111-115
괭생이 모자반 바이오차를 활용한 수용액 내 중금속 흡착 효과 = Adsorption effect of heavy metals in aqueous solution using Sargassum horneri biochar 박재혁, 이익형, 조한나, 조주식, 강세원 p. 117-122
도장처리에 따른 국내산 침엽수 및 활엽수의 치수안정성 = Dimensional stability of domestic softwood and hardwood according to surface painting treatment 고준호, 차민성, 조서영, 고상훈, 김동헌, 박한민 p. 123-128
쌀소득보전직불제가 농가소득 변동성에 미친 영향 = The effect of the rice income compensation payment program on the variability of farm household income 김경환, 김세혁, 김태균 p. 129-134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Hemiptera: Margarodidae) Hyobin Lee, Jongsun Park, In Hoo Jung, Youngwoo Nam, Wonhoon Lee p. 135-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