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사
천연 원료 기반 단청용 백악과 호분 안료의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aekak(chalk) and Hobun(shell) pigment for Dancheong based on natural raw materials
천연 원료 종류에 따른 탄산칼슘계 백색 안료를 백악과 호분으로 구분하여 제조하고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내후성, 항진균, 방염성 평가를 실시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백악 안료는 calcite, dolomite, 호분 안료는 calcite, aragonite가 주구성 물질이며 백악 안료는 광물 조성에 의한 Mg, 호분 안료는 단백질에 기인한 P, S 성분이 특정인자로 확인된다. 안료의 입자 형태는 백악 안료의 경우 광물 특유의 결정 구조를 보이지만 호분 안료는 원료에 따라 판상 또는 주상 조직으로 구분되고 응집된 상태로 비표면적이 큰 편이다. 흡유량은 석회암 및 백운 석이 원료인 백악 안료는 유사한 반면 호분 안료는 원료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데 벚굴 > 꼬막 > 대합 순으로 흡유량이 높았다. 색도분석 결과, 백악과 호분 안료 모두 L* 값이 90이상이고 은폐력도 90이상으로 백색도 및 채색 작업성이 양호하였다. 촉진내후성시험 결과, 최종 색차값 (ΔE)이 2.02 미만으로 육안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백악 안료에 비해 호분 안료가 색 및 도막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항진균 시험 결과, 탄산칼슘계 백색 안료 모두 부후균에 대한 예방 효과가 높았으며, 이 중에서도 대합과 꼬막을 원료로 한 호분 안료의 방부성이 우수하였 다. 또한 대합과 꼬막이 원료인 호분 안료는 방염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유기질 문화유산 에 적용 시 보존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Crushed Shell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미소장
2
Characterization of Xylanase of Fungi Isolated from Janggyeong Panjeon in Haeinsa Temple
미소장
3
Comparative Study on the Pigments Applied on the Wall Paintings of Temple in 18~19C
미소장
4
A Scientific Analysis of Dancheong Pigments at Yaksajeon Hall in Gwallyoungsa Temple
미소장
5
Applicability as a Dancheong Pigment Raw Materials of Korean Low Grade Kaolin
미소장
6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Shells from Korea
미소장
7
A Study on Painting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Pigments Used in Unhangak Hall Dancheong in Hwaryeongjeon Shrine, Suwon
미소장
8
Current Status and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ainted Pigment in used Traditional Dancheong: Focused on the National-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