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천연 원료 종류에 따른 탄산칼슘계 백색 안료를 백악과 호분으로 구분하여 제조하고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내후성, 항진균, 방염성 평가를 실시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백악 안료는 calcite, dolomite, 호분 안료는 calcite, aragonite가 주구성 물질이며 백악 안료는 광물 조성에 의한 Mg, 호분 안료는 단백질에 기인한 P, S 성분이 특정인자로 확인된다. 안료의 입자 형태는 백악 안료의 경우 광물 특유의 결정 구조를 보이지만 호분 안료는 원료에 따라 판상 또는 주상 조직으로 구분되고 응집된 상태로 비표면적이 큰 편이다. 흡유량은 석회암 및 백운 석이 원료인 백악 안료는 유사한 반면 호분 안료는 원료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데 벚굴 > 꼬막 > 대합 순으로 흡유량이 높았다. 색도분석 결과, 백악과 호분 안료 모두 L* 값이 90이상이고 은폐력도 90이상으로 백색도 및 채색 작업성이 양호하였다. 촉진내후성시험 결과, 최종 색차값 (ΔE)이 2.02 미만으로 육안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백악 안료에 비해 호분 안료가 색 및 도막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항진균 시험 결과, 탄산칼슘계 백색 안료 모두 부후균에 대한 예방 효과가 높았으며, 이 중에서도 대합과 꼬막을 원료로 한 호분 안료의 방부성이 우수하였 다. 또한 대합과 꼬막이 원료인 호분 안료는 방염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유기질 문화유산 에 적용 시 보존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여 쌍북리 280-10번지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재질분석 및 보존처리 =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en artifacts excavated at the Ssangbuk-ri 280-10 site in Buyeo, Korea 강민지, 송희수, 김수철 p. 189-198
소형 유물의 3차원 데이터 획득 기술에 관한 사례 및 문헌 연구 =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n 3D data acquisition technology for small artifacts 문솔미, 이보아 p. 199-214
골분 함유 옻의 경화 특성으로 본 골분의 역할 = Study on the function of bone powder in the drying of Asian lacquer containing it 박종서 p. 215-223
유적지 출토 청동용기에서 확인되는 주조와 단조 기술 = Casting and forging techniques found in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Mangduksa temple site in Gyeongju : 경주 망덕사지 출토 청동용기를 중심으로 김소진, 김영도 p. 224-232
이미지 비교와 분석을 통한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간본 이본의 인쇄 방법 추정 = A study on printing method of the first edition of Kim So-wol's poetry collection Azalea Flower through image comparison and analysis 유우식, 유영식 p. 233-243
공주 수촌리 고분군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화학조성과 제작기술 해석 = Interpretati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making techniques for ancient glass beads from Suchonri tomb complex in Gongju, Korea 이정은, 이찬희 p. 244-258
전통소재 단청에 사용되는 자황 안료의 변색 저감 방안 연구 = Study on the methods for reducing discoloration of orpiment pigment used in traditional material Dancheong 오지우, 배수빈, 한경순 p. 259-270
캔버스 보강처리(Patching)를 위한 Lining용 접착제의 적용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ining adhesives to canvas reinforcement treatment(patching) 지봉구, 배수빈, 한경순 p. 271-280
고성 동외동유적 출토 토기의 제작 특성 및 생산지 변화 연구 = Study on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change in production location of pottery excavated from DongOe-dong site in Goseong 박영아, 한우림 p. 281-294
야외 청동 조형물 표면 보존을 위한 다중코팅 적용성 = Applicability of multi-coating for preserving surfaces of outdoor bronze sculptures 이주영, 오승준 p. 295-307
법유 첨가 석회 모르타르의 성분 분석 =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 of lime mortars with perilla oil 윤은영, 강산하 p. 308-320
근적외선 촬영을 이용한 채색문화유산의 밑선 검출 시 안료 입도와 채색 두께에 따른 영향 = Effects of pigment particle size and colored layer thickness on the underdrawing detection in painted cultural heritage using near-infrared photography 장유진, 권서윤, 이상현 p. 321-329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출토 청동제 취사용구의 제작기술 연구 = Analysis on the ancient bronze cooking outils excavated from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이재성, 유하림, 김현우 p. 330-343
천연 원료 기반 단청용 백악과 호분 안료의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aekak(chalk) and Hobun(shell) pigment for Dancheong based on natural raw materials 이선명, 강영석, 박주현, 김명남, 홍진영, 문성우 p. 344-356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ffects of Crushed Shell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미소장
2 Characterization of Xylanase of Fungi Isolated from Janggyeong Panjeon in Haeinsa Temple 미소장
3 Comparative Study on the Pigments Applied on the Wall Paintings of Temple in 18~19C 미소장
4 A Scientific Analysis of Dancheong Pigments at Yaksajeon Hall in Gwallyoungsa Temple 미소장
5 Applicability as a Dancheong Pigment Raw Materials of Korean Low Grade Kaolin 미소장
6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Shells from Korea 미소장
7 A Study on Painting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Pigments Used in Unhangak Hall Dancheong in Hwaryeongjeon Shrine, Suwon 미소장
8 Current Status and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ainted Pigment in used Traditional Dancheong: Focused on the National-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