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제품구매 태도가 ESG 교육 및 홍보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s product purchasing attitudes on the need for ESG education and promo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ESG importance : ESG 중요성의 매개효과 조혜영, 김현지, Jinok Susanna Kim p. 1-14
전공 연계 ‘기후⋅생태계 챌린지’ 교외 교육활동의 효과성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tegrating major in 'climate and ecosystem challenges' : focu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concer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sense of community, collaborative self-efficacy : 예비유아교사의 환경관심도 및 기후환경 위험인식과 공동체 의식,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조혜영 p. 15-30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 정신화로 조절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류정현, 이수림 p. 31-46
간호대학생의 간호인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handover 송유리, 하윤주 p. 47-58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치의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awareness in the impact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on political efficacy 김남호 p. 59-70
간호대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ultural intelligence on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self-efficacy : 다문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태현, 진주현, 안혜란 p. 71-80
초등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omote self-com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오명애, 김수정, 박정환 p. 81-95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play support competency 전은정, 김정은 p. 97-111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grafting design thinking 조용, 김종미, 홍후조 p. 113-132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역할기대, 역할수행, 재직의도 = Role expectations, role performance,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nursing homes 박경희, 양승희 p. 133-146
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based on languages contrast 마에무라카즈아키 p. 147-161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최지혜, 남기화, 이하늘 p. 163-175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The case study of mul[t]isystemic therapy on a perpetra[t]or of school bully as part of the police diversion policy 홍재봉, 김윤희 p. 177-196
유아대상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program that uses design thinking for young children 문소라, 황혜정 p. 197-218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분석 =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mathematics :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백수진 p. 219-237
간호대학 교수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 =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intention of turnover by nursing professor 장유선 p. 239-254
디지털 활용 역량에 관한 예비 영유아 교사의 은유 분석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etaphors regarding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송윤나, 최아라 p. 255-269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standards for cultivating core competency : focusing on core-projects : 핵심프로젝트 중심으로 조용, 홍후조 p. 271-294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Gyeongbuk, South Korea :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손미란, 박지순, 추가영 p. 295-316
학습자의 시간관리 및 자기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관리 모델 연구 = A study of the learning management models to improve learners' time management and self-management skills : a learning analytics approach : 학습분석학적 접근으로 김예지, 이용민, 유승환 p. 317-334
머신러닝과 HLM을 적용한 중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중 행동조절에 대한 학생/부모와 교사/학교 수준의 영향요인 검증 =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at student and teacher/school levels on self-regulated behavioral learning strategies using machine learning and HLM 김지윤, 임예림, 홍세희 p. 335-350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 그래프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인지적 부담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load when interpreting the graphs o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선유림, 이철민, 정덕호 p. 351-365
국내외 교육 커먼즈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educational commons 김민채 p. 367-381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모색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exploring ways to activate it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중심 강우미, 이미자 p. 383-401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CIT(teacher-child interaction training)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early childhood care center teachers 강지혜, 조용선 p. 403-422
고등교육 질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keyword network on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김소정, 허혜승 p. 423-438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수퍼바이저의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exploration of supervisors acting as gatekeepers 김명화 p. 439-460
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of university students, applying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BARS) : focusing on D university's communication capabilities :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이다희 p. 461-482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 자기성찰 및 통찰력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self-reflection and insigh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오순영, 이소영 p. 483-494
국어교사의 음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및 감정 반응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the voi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백유진, 박영민 p. 495-508
지식재산 일반 교과를 통한 특허명세서 작성 교육의 시사점 및 개선 방안 = Implications of teaching patent specification writing in general intellectual property courses and how to improve them 임종우 p. 509-528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ve on of mother-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최윤형, 이희영, 최태진 p. 529-539
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grit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who are prospective counselors 이지혜 p. 541-554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for nursing education(K-SDLRSNE) 허윤라, 이지은 p. 555-565
혼란과 확신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무전공 입학 대학생의 첫 학기 = The first semester of a university student in undeclared major, balancing between confusion and certainty 김해숙, 권정현 p. 567-579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무경계진로태도가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major-satisfaction levels and borderless career attitudes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on career resilience actions 장란, 이동준, 임승현 p. 581-593
성인 상담라포와 상담회기평가 간 관계에서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working alli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counseling rapport and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김유호, 김지현 p. 595-607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are service quality of elderly welfare facility workers 차은주, 이윤주, 최웅용 p. 609-620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 Exploring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issues and language problem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news articles : 2019-2024 : 2019-2024 이안용 p. 621-638
신체도구를 활용한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directed physical games utilizing physical tools on motor skills,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민가혜, 정진화 p. 639-652
중학생의 공감특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Empathy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apply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잠재집단에 따른 또래관계 양상 차이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검증 안은민, 허무녕 p. 653-672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arly cchildhood[실은 childhood] tteachers'[실은 teachers'] eexperiences[실은 experiences] in operating digital eeducation[실은 education] 강혜원, 홍성호, 김미진, 김정은, 김지희, 박지은, 정지인 p. 673-691
대학생의 학습양식 기반 학습전략 향상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 개발 = Development of a mobile app prototype based on learn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김동현, 박민재, 정현미 p. 693-710
중년 대상 음악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in music and culture arts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손영경, 김경이 p. 711-726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epartment mergers and phasing out through the lens of Bolman and Deal's four frames 유예림, 서재영 p. 727-745
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 mentor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이평구 p. 747-765
문제중심학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박진아, 성지숙 p. 767-779
국어의 조사를 대체하는 다단어 표현 연구 = A study on multiword expressions that substitute for Korean postpos[i]tional markers :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etaphors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체계기능언어학의 경험적 은유의 관점 한정한, 차명희, 윤혜경 p. 781-80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조직사회화, 팀워크가 전문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eamwork on professional socialization 황혜정 p. 803-818
인구교육을 위한 메모로 프로젝트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e memoro project 이한솔 p. 819-837
환경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5세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home-based play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of 5-year-old children 임해진 p. 839-852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학습 의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vol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박희진 p. 853-867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전환기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al grit and life satisfaction on children's grit :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life satisfaction : 자녀의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박상현 p. 869-881
8주간 유산소운동이 여고생의 신체구성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girls 박혁, 김도형 p. 883-890
니트(NEET)청년 관련 연구동향 및 도전과제 =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related to NEET youth 이혜은 p. 891-913
고등학생의 영양지식이 식태도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utritional knowledge on eating attitude and eating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eating attitude : 식태도의 매개효과 강미숙, 김애정 p. 915-931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 Syudy[실은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cture evaluation items using the Delphi technique : focusing on the case of lecture evaluation at K university : K 대학의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박주연, 최윤희 p. 933-945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본심리욕구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Korea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강선미, 박정환, 현용찬, 조상호, 조수현 p. 947-958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용서개념 연구 = A study on children's moral judgment and concept of forgiveness : focusing on children's age : 유아의 연령을 중심으로 이찬숙, 강선경 p. 959-969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질 제고를 위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program quality in kindergartens 구자연, 장유진 p. 971-985
‘진지한 여가’로서 중년여성들의 ‘라인댄스 무용단’ 활동 경험 =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in the 'line dance company' as serious leisure : focus on the general public 김희진, 김수연, 박휴경 p. 987-1003